[매경닷컴 MK스포츠(창원) 김원익 기자] 두산 베어스의 좌완투수 유희관(29)이 시즌 17승을 수확하며 두산 역대 최다승 타이 기록을 세웠다.
유희관은 4일 창원 마산구장에서 열린 2015 KBO리그 NC 다이노스와의 정규시즌 경기에 선발 등판해 6⅓이닝 5피안타 3볼넷 3탈삼진 1실점 역투로 시즌 17승(4패)을 수확, 팀의 5-2 승리를 견인했다.
11년만에 두산의 역사를 새롭게 썼다. 종전까지 두산 베어스의 역대 좌완투수 최다승은 2004년 개리 레스의 17승(8패)이었다. 이제 유희관이 좌완으로 레스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이다. 앞서 유희관은 1988년 윤석환의 두산 좌완 토종 최다승(13승)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 만약 1승을 더 추가한다면 토종 투수로서 두산 좌완 역사에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
17승으로 다승 단독 선두로도 올라섰다. 공동 선두였던 에릭 해커가 2일 패전투수가 되면서 유희관에게 온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20승에도 이제 3승만을 남겨뒀다.
안타가 5개였는데 그마저도 빗맞은 안타였거나 수비실책으로 기록될 수 있었던 안타가 다수였다. 거기에 볼넷마저 판정이 아쉬웠을 정도. 투구수가 불어난 7회 연속 안타를 맞은 것이 유일한 옥의 티였지만, 경기 내내 안정감이 넘쳤던 에이스의 역투였다.
1회는 삼자범퇴로 간단하게 마쳤다. 박민우를 3루수 직선타로 아웃시킨 유희관은 후속 김종호를 2루수 땅볼로 솎아냈다. 이어 나성범을 바깥쪽 꽉 찬 속구로 루킹삼진 처리하면서 마무리했다.
2회는 테임즈에게 우익수 오른쪽 방면의 안타를 맞고 시작했다. 후속 이호준에게 헛스윙 삼진을 이끌어낸데 이어 테임즈의 도루 시도를 깔끔한 견제로 잡아낸데 이어 이종욱을 유격수 뜬공으로 아웃시키고 이닝을 마쳤다.
3회는 몸을 날리는 호수비와 초저속 커브까지 함께 선보였다. 1사 후 지석훈에게 안타를 맞은 유희관은 후속 김태군을 상대하던 중 3구로 93km/h 초저속 커브를 던져 스트라이크를 잡았다. 김태군이 허탈한 웃음을 지었을 정도로 허를 찌르는 느린 변화구. 이어 4구째 땅볼을 잡아내려다 글러브에 맞고 튄 공을 몸을 던져 다시 잡아내 곧바로 1루에 연결시켜 아웃시켰다. 이어 박민우의 3루쪽 방면의 타구도 재빨리 움직여 잡아내 1루수 오재일에게 연결했다.
이어진 4회, 이닝을 마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닝 선두타자 김종호와 나성범에게 연속해서 볼넷을 내줬다. 스트라이크 판정이 다소 아쉬웠기에 더욱 힘겨웠던 4회 시작이었다.
유희관은 후속 테임즈를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시키고 한숨을 돌렸지만 더블스틸을 내주면서 주자가 2,3루로 바뀌었다. 자칫하면 대량실점을 할 수 있는 위기. 하지만 유희관은 이호준을 1루수 파울플라이, 이종욱을 유격수 땅볼로 아웃시키고 실점을 하지 않았다.
5회는 삼진 1개를 섞어 깔끔한 삼자범퇴로 마쳤다. 6회 고난도 잘 이겨냈다. 유희관은 1사에서 김종호에게 좌측 방면의 평범한 뜬공을 허용했다. 하지만 좌익수 김현수가 엉거주춤한 자세를 취하던 중 뒤로 넘어지면서 결과는 3루타가 됐다. 그렇지만 유희관은 나성범을 1루수 뜬공으로 잡아낸 이후 테임즈를 볼넷으로 거른 이후 이호준을 2루수 땅볼로 아웃시키고 무실점 투구를 이어갔다.
두산 타선도 8회 1점을 더 뽑으며 지원을 했다. 함덕주가 8회 홈런을 맞으며 1실점을 한 두산 불펜은 이후 이현승이 마운드에 올라 1⅔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경기를 매조졌다.
[one@maekyung.com]
유희관은 4일 창원 마산구장에서 열린 2015 KBO리그 NC 다이노스와의 정규시즌 경기에 선발 등판해 6⅓이닝 5피안타 3볼넷 3탈삼진 1실점 역투로 시즌 17승(4패)을 수확, 팀의 5-2 승리를 견인했다.
11년만에 두산의 역사를 새롭게 썼다. 종전까지 두산 베어스의 역대 좌완투수 최다승은 2004년 개리 레스의 17승(8패)이었다. 이제 유희관이 좌완으로 레스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것이다. 앞서 유희관은 1988년 윤석환의 두산 좌완 토종 최다승(13승) 기록을 경신한 바 있다. 만약 1승을 더 추가한다면 토종 투수로서 두산 좌완 역사에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
17승으로 다승 단독 선두로도 올라섰다. 공동 선두였던 에릭 해커가 2일 패전투수가 되면서 유희관에게 온 기회를 놓치지 않았다. 20승에도 이제 3승만을 남겨뒀다.
안타가 5개였는데 그마저도 빗맞은 안타였거나 수비실책으로 기록될 수 있었던 안타가 다수였다. 거기에 볼넷마저 판정이 아쉬웠을 정도. 투구수가 불어난 7회 연속 안타를 맞은 것이 유일한 옥의 티였지만, 경기 내내 안정감이 넘쳤던 에이스의 역투였다.
1회는 삼자범퇴로 간단하게 마쳤다. 박민우를 3루수 직선타로 아웃시킨 유희관은 후속 김종호를 2루수 땅볼로 솎아냈다. 이어 나성범을 바깥쪽 꽉 찬 속구로 루킹삼진 처리하면서 마무리했다.
2회는 테임즈에게 우익수 오른쪽 방면의 안타를 맞고 시작했다. 후속 이호준에게 헛스윙 삼진을 이끌어낸데 이어 테임즈의 도루 시도를 깔끔한 견제로 잡아낸데 이어 이종욱을 유격수 뜬공으로 아웃시키고 이닝을 마쳤다.
3회는 몸을 날리는 호수비와 초저속 커브까지 함께 선보였다. 1사 후 지석훈에게 안타를 맞은 유희관은 후속 김태군을 상대하던 중 3구로 93km/h 초저속 커브를 던져 스트라이크를 잡았다. 김태군이 허탈한 웃음을 지었을 정도로 허를 찌르는 느린 변화구. 이어 4구째 땅볼을 잡아내려다 글러브에 맞고 튄 공을 몸을 던져 다시 잡아내 곧바로 1루에 연결시켜 아웃시켰다. 이어 박민우의 3루쪽 방면의 타구도 재빨리 움직여 잡아내 1루수 오재일에게 연결했다.
이어진 4회, 이닝을 마치는 것이 쉽지 않았다. 이닝 선두타자 김종호와 나성범에게 연속해서 볼넷을 내줬다. 스트라이크 판정이 다소 아쉬웠기에 더욱 힘겨웠던 4회 시작이었다.
유희관은 후속 테임즈를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시키고 한숨을 돌렸지만 더블스틸을 내주면서 주자가 2,3루로 바뀌었다. 자칫하면 대량실점을 할 수 있는 위기. 하지만 유희관은 이호준을 1루수 파울플라이, 이종욱을 유격수 땅볼로 아웃시키고 실점을 하지 않았다.
5회는 삼진 1개를 섞어 깔끔한 삼자범퇴로 마쳤다. 6회 고난도 잘 이겨냈다. 유희관은 1사에서 김종호에게 좌측 방면의 평범한 뜬공을 허용했다. 하지만 좌익수 김현수가 엉거주춤한 자세를 취하던 중 뒤로 넘어지면서 결과는 3루타가 됐다. 그렇지만 유희관은 나성범을 1루수 뜬공으로 잡아낸 이후 테임즈를 볼넷으로 거른 이후 이호준을 2루수 땅볼로 아웃시키고 무실점 투구를 이어갔다.
사진=MK스포츠 DB
6회까지 투구수가 115개로 많았지만 7회에도 마운드에 오른 유희관은 이종욱과 손시헌에게 연속 안타를 맞았다. 동점 주자까지 출루한 상황. 유희관은 지석훈을 중견수 뜬공으로 아웃시키고 최소한의 역할을 한 이후 함덕주와 교체돼 이날 투구를 마쳤다. 함덕주는 1명의 주자를 들여보냈지만 더 이상의 실점을 하지 않고 이닝을 마쳤고, 유희관의 승리 요건도 지켰다.두산 타선도 8회 1점을 더 뽑으며 지원을 했다. 함덕주가 8회 홈런을 맞으며 1실점을 한 두산 불펜은 이후 이현승이 마운드에 올라 1⅔이닝을 무실점으로 막고 경기를 매조졌다.
[one@mae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