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진 기지] 임신 초기증상 1주째가 눈길을 끈다.
최근 임신 초기 1주째 증상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임신 초기증상 1주째에는 착상혈, 유방통, 아랫배 당김 증상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 기간을 삼분기(trimester)로 최종 월경주기의 첫째 날부터 42주를 각각 14주씩 삼 등분하여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는데 배아기(embryonic period)를 지나 태아기(fetal period)가 시작되는 첫 14주까지의 시기가 임신 초기이다. 약물 등 각종 유해 인자의 노출에 민감한 시기이다.
생리가 없는 것외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있는 경우로는, 흔히 입덧이라고 부르는 오심, 구토 증상이 있을 수 있고, 속옷에 묻어나는 정도의 소량의 질 출혈이나 하복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이 시기에 임신 주수별로 증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입덧의 경우 16주 이후에는 거의 없다. 임신 12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부(symphysis pubis) 위에서 자궁이 만져진다.
약물 복용에 민감한 시기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을 복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문의와 상담하고 임신에 지장을 가장 주지 않는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술을 마시는 것은 얼마만큼 마셔야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한 수치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임신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술을 마셨다 하더라도 임신 중절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임신을 알게 된 후에는 금주해야 한다. 흡연도 마찬가지로 임신 중에는 적이다.
사진 제공=미국 연예매체 스플래쉬닷컴 TOPIC/SplashNews
김승진 기자 mkculture@mkculture.com
최근 임신 초기 1주째 증상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주목받고 있다. 임신 초기증상 1주째에는 착상혈, 유방통, 아랫배 당김 증상등이 나타날 수 있다.
임신 기간을 삼분기(trimester)로 최종 월경주기의 첫째 날부터 42주를 각각 14주씩 삼 등분하여 초기, 중기, 후기로 구분하는데 배아기(embryonic period)를 지나 태아기(fetal period)가 시작되는 첫 14주까지의 시기가 임신 초기이다. 약물 등 각종 유해 인자의 노출에 민감한 시기이다.
생리가 없는 것외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증상이 있는 경우로는, 흔히 입덧이라고 부르는 오심, 구토 증상이 있을 수 있고, 속옷에 묻어나는 정도의 소량의 질 출혈이나 하복부 불편감이 있을 수 있다.
이 시기에 임신 주수별로 증상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며 입덧의 경우 16주 이후에는 거의 없다. 임신 12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부(symphysis pubis) 위에서 자궁이 만져진다.
약물 복용에 민감한 시기지만 필요한 경우에는 약물을 복용할 수 있다. 이때에는 전문의와 상담하고 임신에 지장을 가장 주지 않는 약물을 복용하도록 한다.
술을 마시는 것은 얼마만큼 마셔야 태아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명확한 수치로 제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임신 사실을 모르는 상태에서 술을 마셨다 하더라도 임신 중절을 고려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임신을 알게 된 후에는 금주해야 한다. 흡연도 마찬가지로 임신 중에는 적이다.
사진 제공=미국 연예매체 스플래쉬닷컴 TOPIC/SplashNews
김승진 기자 mkculture@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