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강대호 기자] 한때 유럽 최고였던 바이에른 뮌헨 미드필더 프랑크 리베리(32·프랑스)의 부상이 심상치 않다. 현역 복귀가 가능한지에 대한 회의론마저 제기됐다.
리베리는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2014-15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 홈경기(7-0승)에서 선발 왼쪽 날개로 나와 1골을 넣었다. 그러나 오른쪽 발목을 다쳐 후반 14분 교체됐다. 이후 실전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지 어느덧 176일(만 5개월22일)이 흘렀다.
뮌헨이 목표로 설정한 리베리의 복귀 예정일은 오는 10월 1일이다. 그러나 부상은 회복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계속 치료를 받고 있으나 사실상 언제 전력에 합류할 수 있다는 기약이 없다는 것이 구단 내부의 솔직한 반응이다.
급기야 현역 시절 뮌헨의 주장이자 상징과도 같았던 슈테판 에펜베르크(48·독일)가 리베리가 과연 복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하는 일까지 생겼다. 에펜베르크는 2001년 ‘UEFA 올해의 클럽 축구선수를 수상한 바 있다.
마티아스 잠머(48·독일) 뮌헨 단장도 3일 독일 일간지 ‘빌트를 통하여 현재 구단은 리베리의 상태에 대해 국제적인 전문가들의 자문을 널리 구하고 있다”면서 심각성을 인정했다.
리베리는 2007년 7월 1일 이적료 2500만 유로(333억8575만 원)에 올랭피크 마르세유에서 뮌헨으로 왔다. 2500만 유로는 8년이 지난 지금도 뮌헨 역대 선수영입액 7위이자 마르세유 판매액 2위에 해당한다.
뮌헨 입단 후 리베리는 299경기 104골 149도움으로 맹활약했다. 경기당 76.2분을 소화했고 90분당 공격포인트가 1.00에 달한다. 왼쪽 날개가 주 위치로 오른쪽 날개와 공격형 미드필더로도 뛴다.
2012-13시즌 리베리는 UEFA 챔피언스리그 및 UEFA 프로축구 MVP로 선정되며 유럽 일인자로 올라섰다. 국제축구선수협회(FIFPro) 세계 베스트 11과 국제축구연맹(FIFA) 발롱도르 투표 3위를 한 것도 이때다.
이처럼 리베리가 인생 최고의 순간을 맞이했던 때는 불과 3년 전이다. 그러나 부상 회복 지연으로 30대 초반에 선수생활을 위협받게 됐다.
[dogma0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리베리는 샤흐타르 도네츠크와의 2014-15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 16강 2차전 홈경기(7-0승)에서 선발 왼쪽 날개로 나와 1골을 넣었다. 그러나 오른쪽 발목을 다쳐 후반 14분 교체됐다. 이후 실전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지 어느덧 176일(만 5개월22일)이 흘렀다.
뮌헨이 목표로 설정한 리베리의 복귀 예정일은 오는 10월 1일이다. 그러나 부상은 회복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계속 치료를 받고 있으나 사실상 언제 전력에 합류할 수 있다는 기약이 없다는 것이 구단 내부의 솔직한 반응이다.
급기야 현역 시절 뮌헨의 주장이자 상징과도 같았던 슈테판 에펜베르크(48·독일)가 리베리가 과연 복귀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하는 일까지 생겼다. 에펜베르크는 2001년 ‘UEFA 올해의 클럽 축구선수를 수상한 바 있다.
마티아스 잠머(48·독일) 뮌헨 단장도 3일 독일 일간지 ‘빌트를 통하여 현재 구단은 리베리의 상태에 대해 국제적인 전문가들의 자문을 널리 구하고 있다”면서 심각성을 인정했다.
리베리는 2007년 7월 1일 이적료 2500만 유로(333억8575만 원)에 올랭피크 마르세유에서 뮌헨으로 왔다. 2500만 유로는 8년이 지난 지금도 뮌헨 역대 선수영입액 7위이자 마르세유 판매액 2위에 해당한다.
뮌헨 입단 후 리베리는 299경기 104골 149도움으로 맹활약했다. 경기당 76.2분을 소화했고 90분당 공격포인트가 1.00에 달한다. 왼쪽 날개가 주 위치로 오른쪽 날개와 공격형 미드필더로도 뛴다.
2012-13시즌 리베리는 UEFA 챔피언스리그 및 UEFA 프로축구 MVP로 선정되며 유럽 일인자로 올라섰다. 국제축구선수협회(FIFPro) 세계 베스트 11과 국제축구연맹(FIFA) 발롱도르 투표 3위를 한 것도 이때다.
이처럼 리베리가 인생 최고의 순간을 맞이했던 때는 불과 3년 전이다. 그러나 부상 회복 지연으로 30대 초반에 선수생활을 위협받게 됐다.
[dogma01@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