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 결혼비용, 신랑 측은 8천만원 이상, 신부측은 6천만원 이하 ‘지출 규모 차이
[김승진 기자] 자녀가 결혼할 때 아들 가진 부모는 대체로 8천만원 이상을, 딸 쪽 부모는 대부분 6천만원 이하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9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최근 3년 이내 자녀를 결혼시킨 55~69세 기혼남녀(부모 세대)와 같은 기간에 결혼한 신랑 신부(자녀 세대) 등 총 1천200명을 대상으로 결혼할 때 실제 지출한 금액을 조사한 결과, 이처럼 신랑과 신부측 부모의 지출 규모에 차이가 나타났다.
2일 여가부에 따르면 신랑·신부·시부·시모·친정부·친정모 등 6개 그룹별로 각 20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에서 시아버지의 53.5%, 시어머니의 56%가 아들 결혼으로 지출한 비용이 '8천만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2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도 각각 10%와 12.5%에 달했다.
반면 친정부모는 70%가량이 6천만원 이하를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할 때 목돈이 들어가는 만큼 신랑신부의 대다수가 부모에게 손을 벌렸다.
전체 응답자 중 부모님 지원을 전혀 받지 않은 비율은 10.4%에 불과해 대다수가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결혼비용 중 60% 이상을 부모가 부담했다는 응답도 43.4%에 달해 부모의 지원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부모 세대는 한꺼번에 수천만원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세대 응답자 중 51.9%가 지원 액수에 대해 '부담스러웠다'고 답했으며 이 중 '매우 부담스러웠다'는 답변도 8.5%였다.
이런 부담에도 자녀의 결혼 때 경제적으로 지원한 이유에 대해 부모세대 응답자의 68%는 '부모로서 자녀에게 할 의무이므로'라는 답을 내놨다.
또 부모 세대의 84.7%가 '능력이 있다면 결혼비용을 대주는게 좋다'는 문항에 긍정적으로 답해 자녀의 결혼비용에 대한 높은 책임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금전적인 부담감을 상대방 가족에게 털어놓는 사례는 드물었다.
'결혼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상대방 집안에 표현했는지'에 관한 물음에 93%가 '별로' 또는 '전혀'라고 응답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9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최근 3년 이내 자녀를 결혼시킨 55~69세 기혼남녀(부모 세대)와 같은 기간에 결혼한 신랑 신부(자녀 세대) 등 총 1천200명을 대상으로 결혼할 때 실제 지출한 금액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정작 자녀의 상당수는 부모의 부담을 당연시했다.
자녀 세대의 64.8%는 부모가 능력이 있다면 결혼비용을 대주는 게 좋다고 답했다.
또한 주위에서 본인보다 상대방 가족으로부터 결혼비용을 더 많이 받은 지인이 있다는 이유로 스트레스를 호소한 사례도 많았다.
자녀 세대 응답자 중 '본인보다 시가·처가에서 결혼비용을 더 많이 받은 지인이 있다'고 응답한 자녀는 52.1%였으며 신부(74%)가 신랑(30%)보다 2배 이상 많아 성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런 지인을 둔 자녀 세대의 64%는 그로 인해 정신적 또는 물질적으로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한편 자녀가 결혼한 뒤 정기적으로 생활비나 용돈을 받는 부모는 전체의 16.8%로 대다수는 정기적으로 금전적인 도움을 받지 않았다.
생활비나 용돈을 받는 부모는 한달 평균 22만원 정도를 받았다.
부모세대 응답자 중 앞으로 자녀에게 정기적으로 용돈받기를 기대하는 경우도 14.6%에 불과했다.
그러나 부모 그룹을 세분화하면 시어머니 그룹에서 자녀에 대한 생활비 기대가 23.5%로 시아버지(12%)나 친정부모(9.5~1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김승진 기자 mkculture@mkculture.com
[김승진 기자] 자녀가 결혼할 때 아들 가진 부모는 대체로 8천만원 이상을, 딸 쪽 부모는 대부분 6천만원 이하를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가족부가 지난해 9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최근 3년 이내 자녀를 결혼시킨 55~69세 기혼남녀(부모 세대)와 같은 기간에 결혼한 신랑 신부(자녀 세대) 등 총 1천200명을 대상으로 결혼할 때 실제 지출한 금액을 조사한 결과, 이처럼 신랑과 신부측 부모의 지출 규모에 차이가 나타났다.
2일 여가부에 따르면 신랑·신부·시부·시모·친정부·친정모 등 6개 그룹별로 각 200명을 대상으로 한 이 조사에서 시아버지의 53.5%, 시어머니의 56%가 아들 결혼으로 지출한 비용이 '8천만원 이상'이라고 답했다.
'2억원 이상'이라고 답한 비율도 각각 10%와 12.5%에 달했다.
반면 친정부모는 70%가량이 6천만원 이하를 지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결혼할 때 목돈이 들어가는 만큼 신랑신부의 대다수가 부모에게 손을 벌렸다.
전체 응답자 중 부모님 지원을 전혀 받지 않은 비율은 10.4%에 불과해 대다수가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결혼비용 중 60% 이상을 부모가 부담했다는 응답도 43.4%에 달해 부모의 지원 비중이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부모 세대는 한꺼번에 수천만원을 내놓아야 하는 상황에 상당한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세대 응답자 중 51.9%가 지원 액수에 대해 '부담스러웠다'고 답했으며 이 중 '매우 부담스러웠다'는 답변도 8.5%였다.
이런 부담에도 자녀의 결혼 때 경제적으로 지원한 이유에 대해 부모세대 응답자의 68%는 '부모로서 자녀에게 할 의무이므로'라는 답을 내놨다.
또 부모 세대의 84.7%가 '능력이 있다면 결혼비용을 대주는게 좋다'는 문항에 긍정적으로 답해 자녀의 결혼비용에 대한 높은 책임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금전적인 부담감을 상대방 가족에게 털어놓는 사례는 드물었다.
'결혼비용에 대한 부담감을 상대방 집안에 표현했는지'에 관한 물음에 93%가 '별로' 또는 '전혀'라고 응답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9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의뢰해 최근 3년 이내 자녀를 결혼시킨 55~69세 기혼남녀(부모 세대)와 같은 기간에 결혼한 신랑 신부(자녀 세대) 등 총 1천200명을 대상으로 결혼할 때 실제 지출한 금액을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정작 자녀의 상당수는 부모의 부담을 당연시했다.
자녀 세대의 64.8%는 부모가 능력이 있다면 결혼비용을 대주는 게 좋다고 답했다.
또한 주위에서 본인보다 상대방 가족으로부터 결혼비용을 더 많이 받은 지인이 있다는 이유로 스트레스를 호소한 사례도 많았다.
자녀 세대 응답자 중 '본인보다 시가·처가에서 결혼비용을 더 많이 받은 지인이 있다'고 응답한 자녀는 52.1%였으며 신부(74%)가 신랑(30%)보다 2배 이상 많아 성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런 지인을 둔 자녀 세대의 64%는 그로 인해 정신적 또는 물질적으로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한편 자녀가 결혼한 뒤 정기적으로 생활비나 용돈을 받는 부모는 전체의 16.8%로 대다수는 정기적으로 금전적인 도움을 받지 않았다.
생활비나 용돈을 받는 부모는 한달 평균 22만원 정도를 받았다.
부모세대 응답자 중 앞으로 자녀에게 정기적으로 용돈받기를 기대하는 경우도 14.6%에 불과했다.
그러나 부모 그룹을 세분화하면 시어머니 그룹에서 자녀에 대한 생활비 기대가 23.5%로 시아버지(12%)나 친정부모(9.5~13.5%)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김승진 기자 mkculture@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