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평창올림픽 치르는 휘닉스파크 유동성 위기 우려
입력 2015-08-28 22:06  | 수정 2015-08-28 23:56
평창 보광휘닉스파크 운영업체인 보광에 대한 유동성 위기 우려가 나오고 있다. 평창 보광휘닉스파크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스노보드·프리스타일 경기 개최지다. 이에 따라 '법정관리 업체에서 올림픽이 열리는 게 아니냐'는 걱정마저 나오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최근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을 만나 보광의 유동성 위기 우려를 전달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보광이 지급보증을 하고 있는 STS반도체통신 유동성 위기와 더불어 연이은 적자 상황에 골프장과 리조트 회원들의 리콜 가능성까지 감안해 올림픽 개최 장소 운영업체의 유동성 위기 우려를 전달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대책 마련 필요성을 올림픽조직위 측에 제시했지만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고 했다.
보광은 영업손실이 2013년 10억4134만원에서 지난해 49억7755만원으로 5배 가까이 급증했다. 지난해 당기순손실은 118억6329만원에 달한다. 이처럼 적자가 지속되는 가운데 1200억원대 장기차입금도 보유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조직위원회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개최 장소 운영업체의 유동성 위기 문제가 터지면 국제적 위신 논란이 불가피하다"며 "STS반도체통신 매각이 순조롭게 풀린다면 호재지만 적자가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낙관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회원권 리콜 가능성도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부분이다. 보광은 휘닉스파크의 콘도와 골프장, 워터파크, 스키장 등을 이용할 수 있는 회원권을 5년이나 10년 이후 입회금 전액 반환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판매해 왔다. 지난해 말 기준 보광 감사 보고서에 따르면 입회금 만기는 올해만 191억원이 돌아온다. 내년에는 45억원이고 평창동계올림픽을 1년 앞둔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만기 도래 금액은 247억원이다. 보광은 이 돈을 보증금 형태로 장부상 기록하고 있지만, 현금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보광의 유동성 위기가 가시화될 경우 법정관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장기차입금이 은행 차입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자율 협약이나 워크아웃 같은 회생 방안을 적용하기 힘든 구조다.
보광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의 1200억원대 규모 장기차입금을 지난해 지식재산권(IP) 전문회사에 담보부 차입 형태로 넘긴 상태다. 보광은 회사의 부동산 등을 통해 이 거래를 담보부 차입으로 처리했다.
조직위 관계자는 "개최 장소 운영업체가 유동성 위기에 빠진다고 해서 대회 운영 자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며 "아직 뚜렷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보광 관계자는 "리콜이 들어오는 만큼 새로운 회원을 받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며 "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오히려 분양권 모집이 더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정석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