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대책은 백약이 무효'라며 팔짱만 끼고 있던 기존 정부 부동산 정책에 변화 조짐이 일고 있다. 주도권은 기획재정부가 쥐고 주무부처인 국토교통부가 뒤따라가는 모양새다. 정부가 이르면 이달 말, 늦어도 다음달 초 내놓을 전·월세 대책의 핵심은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 2030세대를 겨냥한 행복주택, 그리고 독거노인 등 도시 소외계층을 겨냥한 임대주택 공급 확충이다.
목동, 송파, 잠실 등 박근혜정부가 대선 공약으로 내건 행복주택 시범지구가 최근 무산된 상황에서 내년 총선과 그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선 어떤 형태로든 전·월세난으로 불만이 폭주하는 주거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전·월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5일 정부 한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 대선 공약인 목동, 잠실 등 행복주택 시범지구가 결국 지역 여론에 밀려 최종 무산된 상황에서 서울 도심 역세권에서 이를 대체할 만한 후보지를 계속 찾고 있다"며 "서초구 등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사전 협의를 통해 지역 개발과 행복주택 공급이라는 절충점을 찾아 반대 여론을 최대한 줄이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양천구 목동과 송파, 잠실은 철도 용지와 배수지 등 인근 유휴 용지에 행복주택을 짓겠다는 정부 발표와 함께 즉각적인 지역 반발에 부딪혔다. 양천구청 등 지자체와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대규모 임대주택 개발 계획이 급작스레 발표되면서다.
하지만 최근 SH공사 주도로 서초구 방배3동 성뒤마을에 행복주택 700가구를 포함해 1200가구 규모 저밀도 개발을 추진하는 사례나 KTX 수서역세권 개발 과정에서 행복주택 1700가구를 녹여 넣는 개발 사례에서 보듯 국토부와 서울시, 그리고 해당 지자체 간에 서로 이해가 맞어떨어지는 구조로 행복주택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기재부는 물론 국토부와 서울시 등 지자체 역시 2030세대 주거 불안 해소책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KTX 수서역세권 개발과 관련해서 서울시에서 그린벨트 일시 해제를 문제 삼았지만 젊은 세대를 위한 행복타운으로 조성한다는 데는 이견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서울시 관계자도 "수서역세권 용지 외에도 인근 KT지사를 매입해 젊은 층에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하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대학가 역세권 인근 노후 고시원과 여인숙·상가 등을 활용한 공공임대주택 추가 건립 방안도 국토부와 협의 중이다. 서울 신림동, 신촌 등 주요 대학가에 슬럼화된 고시원, 여관, 상가 등이 많고 이 지역에 대학생들이 밀집해서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울시가 국토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확보할 수 있는 대학생을 위한 임대주택은 3000~5000가구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역시 시기와 방법이다. 국토부는 올해 공급하는 임대주택 12만가구 총량 범위 안에서 일부 조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기재부는 추가 물량 확보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로 행복주택지구 지정 등이 있으면 목동처럼 지역주민 반발로 사업이 사실상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 한 관계자는 "젊은 세대만을 위한 행복주택을 많이 공급하기는 힘들고 독거노인 등 사회취약계층을 위해 노후 상가, 단독주택 등을 매입해 다가구나 다세대 주택으로 개조해서 임대 물량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역세권일수록 독거노인 등 노년층을 배려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다.
다만 2030세대를 겨냥한 한정적인 대책으로는 가을 전·월세난을 막을 수 없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젊은 층 표심은 흔들 수 있겠지만 전·월세 시장 안정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임대주택 12만가구 총량 범위 내에서 소외계층에 임대주택 우선 공급 비율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 방안이 될 것"이라며 "임대주택을 추가로 건설하거나 공급을 확대하는 것은 아니고 주거 취약계층에 임대주택을 더 주는 방식으로 공급 물량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우 기자 / 문지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목동, 송파, 잠실 등 박근혜정부가 대선 공약으로 내건 행복주택 시범지구가 최근 무산된 상황에서 내년 총선과 그 이후를 대비하기 위해선 어떤 형태로든 전·월세난으로 불만이 폭주하는 주거 소외계층을 위한 맞춤형 전·월세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5일 정부 한 관계자는 "박근혜 대통령 대선 공약인 목동, 잠실 등 행복주택 시범지구가 결국 지역 여론에 밀려 최종 무산된 상황에서 서울 도심 역세권에서 이를 대체할 만한 후보지를 계속 찾고 있다"며 "서초구 등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사전 협의를 통해 지역 개발과 행복주택 공급이라는 절충점을 찾아 반대 여론을 최대한 줄이는 게 목표"라고 밝혔다.
양천구 목동과 송파, 잠실은 철도 용지와 배수지 등 인근 유휴 용지에 행복주택을 짓겠다는 정부 발표와 함께 즉각적인 지역 반발에 부딪혔다. 양천구청 등 지자체와 충분한 협의를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대규모 임대주택 개발 계획이 급작스레 발표되면서다.
하지만 최근 SH공사 주도로 서초구 방배3동 성뒤마을에 행복주택 700가구를 포함해 1200가구 규모 저밀도 개발을 추진하는 사례나 KTX 수서역세권 개발 과정에서 행복주택 1700가구를 녹여 넣는 개발 사례에서 보듯 국토부와 서울시, 그리고 해당 지자체 간에 서로 이해가 맞어떨어지는 구조로 행복주택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 특히 기재부는 물론 국토부와 서울시 등 지자체 역시 2030세대 주거 불안 해소책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시는 대학가 역세권 인근 노후 고시원과 여인숙·상가 등을 활용한 공공임대주택 추가 건립 방안도 국토부와 협의 중이다. 서울 신림동, 신촌 등 주요 대학가에 슬럼화된 고시원, 여관, 상가 등이 많고 이 지역에 대학생들이 밀집해서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서울시가 국토부에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렇게 확보할 수 있는 대학생을 위한 임대주택은 3000~5000가구 정도 될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역시 시기와 방법이다. 국토부는 올해 공급하는 임대주택 12만가구 총량 범위 안에서 일부 조정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지만 기재부는 추가 물량 확보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로 행복주택지구 지정 등이 있으면 목동처럼 지역주민 반발로 사업이 사실상 표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부 한 관계자는 "젊은 세대만을 위한 행복주택을 많이 공급하기는 힘들고 독거노인 등 사회취약계층을 위해 노후 상가, 단독주택 등을 매입해 다가구나 다세대 주택으로 개조해서 임대 물량 공급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역세권일수록 독거노인 등 노년층을 배려해야 한다는 필요성 때문이다.
다만 2030세대를 겨냥한 한정적인 대책으로는 가을 전·월세난을 막을 수 없다는 회의적인 시각도 많다. 젊은 층 표심은 흔들 수 있겠지만 전·월세 시장 안정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임대주택 12만가구 총량 범위 내에서 소외계층에 임대주택 우선 공급 비율을 확대하는 것이 주요 방안이 될 것"이라며 "임대주택을 추가로 건설하거나 공급을 확대하는 것은 아니고 주거 취약계층에 임대주택을 더 주는 방식으로 공급 물량 조정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우 기자 / 문지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