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우리銀 쪼개팔기로 민영화 나섰지만…
입력 2015-07-21 17:31  | 수정 2015-07-22 08:47
박상용 공자위 위원장
■ 공자위, 과점주주 방식 매각 방안 발표
정부가 우리은행의 민영화와 관련해 경영권 지분 매각과 함께 지분 4~10%씩을 나눠 파는 과점주주 방식도 함께 추진한다. 현실적으로 경영권 지분을 살 만한 수요자가 없어 나온 대안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은행 주가가 9000원 선에 머무를 정도로 낮은 가운데 추가 매수 희망자를 찾아야 하고 구체적 시간표도 제시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민영화까지 상당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21일 회의를 열고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 방향을 심의·의결했다. 정부의 우리은행 민영화 시도는 2010년 이후 다섯 번째다. 이번 방안 특징은 경영권 지분과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동시에 추진해 수요를 확보하겠다는 것. 정부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은 51.04%고 콜옵션 보유분 등을 제외한 매각 대상은 48.07%다. 이 중 30~40%를 4~10%씩 나눠파는 게 과점주주 방식의 주요 내용이다. 나머지 지분은 과점주주 방식 매각 후 주가가 오르면 그때 팔아서 공적자금 회수율을 높이겠다는 게 정부 생각이다. 매각 방식은 높은 가격을 제시한 순으로 각자 희망하는 물량을 배분하는 희망수량 경쟁입찰을 채택했다.
과점 지분을 매입한 소수의 주요 주주들은 이사회를 통해 각자 경영에 관여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정부는 지분 30% 이상을 통으로 매각하는 지배주주 매각 방식 또한 수요자가 있다면 추진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박상용 공자위 위원장은 "아직 투자 수요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우선 과점주주 방식으로 진행한다는 것을 대외적으로 발표해 논의가 활발해지도록 여건을 조성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시장 수요조사 결과 현재 확인된 투자 수요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아 당장 매각을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정부는 시장 수요가 확인되고 매각을 위한 여건이 성숙됐다고 판단하면 최대한 신속하게 매각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매각에 앞서 우리은행의 기업가치와 주가를 끌어올리고자 경영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현재 주가가 저평가돼 있다는 판단에서 나온 조치다. 특히 예금보험공사와 우리은행이 맺은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MOU)'의 관리지표를 조정하거나 변경하는 방식을 검토하기로 했다.
박 위원장은 "우리은행 주가가 상당히 낮은데, 그 이유로 공적 통제를 받는 데 따른 기업가치 저하를 많이들 얘기한다"며 "이를 불식시키려는 핵심이 MOU를 과감히 완화 혹은 폐지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예보는 우리은행과 맺은 MOU를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예보 관계자는 "우리은행의 경영 자율성을 제고하는 차원에서 MOU에 나와 있는 성과지표와 목표비율을 원점에서 재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예보는 우리은행의 1대 주주라는 이유로 매년 BIS자기자본비율, 총자산이익률(ROA), 순고정이하여신비율 등 재무목표 비율을 설정해 관리하고 있다. 우리은행 임직원들 급여는 MOU 달성 여부에 따라 좌우되고 경영전략도 MOU에 초점이 맞춰져 경직될 수밖에 없다. 전문가들은 현실적 대안으로 과점주주 방식을 택한 것에 대해 긍정적 평가를 내리면서도 보다 신속한 민영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추가 수요조사와 주가에 얽매이다 보면 일정이 늦춰져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빈 한양대 교수는 "지금까지 매각대금 극대화를 노렸지만 매번 무산된 점을 감안해 현실적 대안으로 과점주주 방식을 택했다면 긍정적"이라며 "기업가치 등을 감안할 때 무엇보다도 하루빨리 매각하는 게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상업은행과 한일은행이 합쳐져 우리금융지주가 만들어졌고, 이후 평화은행·경남은행·광주은행이 편입됐다. 정부는 공적자금 12조8000억원을 투입했고 여러 차례 지분 매각을 통해 63.5% 정도 회수했다. 공적자금을 전량 회수하기 위해선 주가가 1만3500원까지 올라가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김규식 기자 / 배미정 기자 / 김효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