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례의 실패를 거쳐 우리은행에 대한 5번째 민영화를 시도하고 있는 정부가 깊은 시름에 빠졌다.
최근 우리은행 지분 매수 희망자를 물색한 결과 엘리엇 사태의 후폭풍으로 투기자본 의혹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사모펀드(PEF)외에는 매수 후보가 나타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번 매각 과정에 참여했던 중국 안방보험 등 다른 외국계 자본에 대해서도 대주주 적격성 여부를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 역시 지난번 매각 과정에서 입질했던 교보생명마저 우리은행 과점주주 방식 매각에서 지분 인수에 나설 의사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여기에 최근 우리은행의 낮은 주가로 ‘헐값 매각 논란 리스크 우려가 커지고 있다. 산업은행이 보유한 대우증권 매각과 더불어 정부 보유 금융회사 매각이 총체적으로 난항을 겪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1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3일 전문가와 우리은행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간담회를 열고 우리은행 매각 방안을 논의한다.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취임 100일 기념 기자간담회에서 7월 중 우리은행 매각 방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는데, 그에 앞서 잠재 매수 후보자 현황과 매각방안을 최종 점검하는 자리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우리은행 조기 매각을 위한 뚜렷한 방안이 도출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 고위 관계자는 현재로선 PEF 말고는 뚜렷한 매수후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며 (중국 안방보험 등) 외국계 금융회사가 관심을 갖고 있다고 알고 있지만 공식적으로 관심 표명이 이뤄지지 않은데다 이들의 (인수 이후) 전략에 대해 조심스러운 게 사실”이라고 전했다.
외국계를 포함해 국내외 투자자들이 우리은행 경영권을 확보하기 위한 자금을 댈 의향이 있는지도 의문이다. 정부가 최소 30% 이상 지분을 ‘일괄매각하는 방식을 택했다가 아무도 나서지 않는다면 5번째 민영화 실패를 자초할 수 있다.
금융권에서는 과점주주 매각이나 희망수량경쟁입찰 방식을 추진해야 한다고 보고있지만 최근 우리은행의 낮은 주가 때문에 이마저도 가능할지 반신반의하고 있다. 신규상장 당일인 지난해 11월 19일 1만3100원에 달했던 우리은행 주가(종가 기준)가 1만원을 밑돈 지 오래이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의 지난 10일 주가는 9310원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정부에서 이런저런 이유로 잠재적 투자자들을 제한하기 시작하면 우리은행 민영화는 또다시 미뤄질 수 밖에 없다”며 현재로선 연기금이나 금융사에 과점주주 방식으로 분산 매각하는 안이 가장 유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정석우 기자 / 배미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