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독해진 오존농도…황사보다 더 무섭다
입력 2015-06-16 16:11 

때이른 폭염에 가뭄이 겹치며 시민 건강을 위협하는 오존이 한층 독해졌다.
16일 매일경제가 서울 지역 대기환경정보를 분석한 결과 시내 오존농도는 6월 평균 0.04ppm(15일 기준)로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8% 짙어졌다. 지난해 여름철(6~8월) 평균 농도인 0.032ppm과 비교하면 25% 이상 높아진 수치다.
오존은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나오는 질소 산화물이 햇빛과 반응하면서 생기는 유해물질로, 일정 수준 이상 농도가 높아지면 눈이나 호흡기에 자극을 주고, 장시간 노출되면 패혈증 등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최근 강한 일사량에 극심한 가뭄이 더해져 오존이 기승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비가 오면 공기 중 오염물질이 씻겨나가 오존 농도가 낮아지지만, 강수량이 급감하자 이같은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김상우 서울대 대기과학부 교수는 상당 기간 지속되고 있는 건조한 날씨가 고농도 오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고 진단했다.
문제는 오존이 황사나 미세먼지만큼 해롭지만, 눈에 보이지 않아 일반 시민들이 위해성을 인지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에 따르면 오존 농도가 0.01ppm 짙어지면 하루 사망 위험이 0.79~1.12%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도관 교수팀은 1주일간 오존 농도가 0.016ppm 증가하면 전체 자살률이 7.8%가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오존 농도가 시간당 0.12ppm이상이면 눈과 코에 자극을 느끼고 불안감과 두통이 생긴다. 0.3ppm이상이면 호흡기 자극, 가슴압박, 시력감소 등 증상을 일어나고, 0.5ppm이상이면 폐기능 저하 및 폐혈증 등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오존은 갈수록 독해지고 있다. 2006년만해도 서울 지역 오존 주의보 발령 횟수는 3차례, 연중 최대 농도는 0.143ppm에 그쳤지만, 지난해에는 주의보만 23회 울렸고, 최대 농도도 0.171ppm로 치솟았다. 올해는 폭염 현상이 심했던 10일 서울 지역 오존이 0.12ppm 이상 치솟아 첫 주의보가 발령됐다.
오존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은 환경 당국이 오존주의보(0.12ppm 이상)를 울리면 가급적 야외 활동을 자제하는 것이다. 서울시 오존 경보는 대기환경정보 홈페이지(cleanair.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오존이 많은 시간대를 피하는 것도 방법이다. 서울연구원이 1995년 이후 오존 농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통상 오존 농도가 짙은 때는 5~6월 오후 2~5시 사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재진 부경대 대기환경학과 교수는 오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시민들이 실질적인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어야 한다”며 시나 구 단위로 제공되는 오존 수치 정보를 개별 거리 단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근본적으로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자동차 배기가스 등을 줄이는 것이 해결책”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남산 지역에 국한된 대기청정지역을 개별 자치구로 확대하고, 경유차 등에 설치하는 질소 산화물 저감장치를 올해 1323대에서 2018년까지 1만대로 늘리는 등 유해물질 배출 차량 집중 관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정환 기자 / 김시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