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광주) 이상철 기자] 10승보다 10패에 더 빨리 도달했다. 20승보다 20패가 먼저였다. 그리고 30승과 30패의 저울질 사이에서도 다르지 않았다. KIA는 귀신같은 5할 승률 본능을 보였으나 아니나 다를까, 다시 ‘-1이 됐다. 다시 한 번 이기면 ‘0이 되며 5할 승률 복귀다. 하지만 지난 12일 광주 삼성전은 KIA가 곱씹어야 할 패배였다.
호랑이는 사자 앞에서 힘을 못 썼다. 불과 하루 전날까지만 해도 삼성 내에 맴돌던 무기력증이 KIA로 옮겼다. 0-1, 0-2, 그리고 0-5. 3회 터진 박석민의 3점 홈런으로 그로기 상태에 빠졌던 KIA는 결정적인 한방을 맞았다. 5회 최형우와 6회 야마이코 나바로의 홈런은 삼성의 5연패 탈출을 알리는 ‘축포였다.
허무한 패배. KIA가 이토록 무기력했던 건 오랜만이었다. 3안타 빈공 속에 1-8로 졌던 지난 3일 잠실 두산전(KIA 1-8 패)도 이렇지는 않았다. 적어도 4회초(1-1)까지는 팽팽했다. 일찌감치 속절없이 무너지는 ‘풍경은 지난 4월 19일 광주 넥센전(KIA 4-15 패)을 떠올리게 했다.
삼성과 다르게 KIA의 타선은 답답했다. 1회와 2회 선두타자가 안타를 치며 출루했으나 후속타는 터지지 않았다. 연속 안타는 3회(강한울 3루타-신종길 안타)가 유일했다. 다승 선두(9승) 알프레도 피가로의 구위에 눌려 힘 한 번 못 썼다.
그러나 KIA가 무참하게 패한 데 타선의 부진만을 탓할 수는 없다. KIA의 기복 있는 타선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었다. 이전부터 그랬다. 그래도 KIA가 5할 승률을 기록하며 버텨왔던 건 공격보다 수비, 그리고 마운드의 힘 때문이었다. 특히, 선발야구가 잘 이뤄졌다.
하지만 유창식은 와르르 무너졌다. 제구 불안 속에 볼을 남발하더니 매 이닝 위기를 자초했다. 아슬아슬 줄타기는 오래 가지 않았다. 선발투수가 2이닝 이하 투구를 펼친 건 지난 5월 9일 목동 넥센전(서재응 1⅔이닝) 이후 처음이었다. 유창식의 조기 강판은 곧 KIA의 패배로 직결됐다.
KIA의 6월 성적은 5승 4패. 선발투수가 5회까지도 못 버티고 강판된 건 2번이었다. 공교롭게 모두 유창식(3일 4이닝 5실점 4자책-12일 2이닝 4실점)이었다. 5월 말에는 임준혁이 그러했다. 그 외에는 선발투수가 적어도 5회는 막아줬다. 그리고 그 선발진이 버팀으로써 KIA는 승수를 쌓아왔다.
KIA가 최근 선발투수가 조기 강판된 가운데 승리한 건 지난 5월 20일 사직 롯데전(KIA 9-5 승)이었다. 홍건희의 9탈삼진 호투에 타선(12안타 1홈런 9득점)이 폭발하기도 했으나 상대 선발투수(박세웅 ⅔이닝)도 함께 무너졌기에 가능했던 승리였다.
선발투수가 ‘최소한의 책임을 짊어지지 않는다면, KIA는 힘겨울 수밖에 없다. 뒤로 갈수록 반전 요소를 찾기란 어려웠다. 홍건희, 임준혁이 뒤이어 바통을 넘겨받았으나 뒤바뀐 흐름을 돌리기엔 늦고 벅찼다.
믿음의 선발야구가 KIA의 최대 강점이다. 그런데 그 강점을 발휘하지 않고선 이기기란 더욱 힘들다. 그 현주소가 여실히 드러났던 지난 12일 경기였다. 호랑이군단에겐 선발야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은 하루였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호랑이는 사자 앞에서 힘을 못 썼다. 불과 하루 전날까지만 해도 삼성 내에 맴돌던 무기력증이 KIA로 옮겼다. 0-1, 0-2, 그리고 0-5. 3회 터진 박석민의 3점 홈런으로 그로기 상태에 빠졌던 KIA는 결정적인 한방을 맞았다. 5회 최형우와 6회 야마이코 나바로의 홈런은 삼성의 5연패 탈출을 알리는 ‘축포였다.
허무한 패배. KIA가 이토록 무기력했던 건 오랜만이었다. 3안타 빈공 속에 1-8로 졌던 지난 3일 잠실 두산전(KIA 1-8 패)도 이렇지는 않았다. 적어도 4회초(1-1)까지는 팽팽했다. 일찌감치 속절없이 무너지는 ‘풍경은 지난 4월 19일 광주 넥센전(KIA 4-15 패)을 떠올리게 했다.
삼성과 다르게 KIA의 타선은 답답했다. 1회와 2회 선두타자가 안타를 치며 출루했으나 후속타는 터지지 않았다. 연속 안타는 3회(강한울 3루타-신종길 안타)가 유일했다. 다승 선두(9승) 알프레도 피가로의 구위에 눌려 힘 한 번 못 썼다.
그러나 KIA가 무참하게 패한 데 타선의 부진만을 탓할 수는 없다. KIA의 기복 있는 타선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니었다. 이전부터 그랬다. 그래도 KIA가 5할 승률을 기록하며 버텨왔던 건 공격보다 수비, 그리고 마운드의 힘 때문이었다. 특히, 선발야구가 잘 이뤄졌다.
하지만 유창식은 와르르 무너졌다. 제구 불안 속에 볼을 남발하더니 매 이닝 위기를 자초했다. 아슬아슬 줄타기는 오래 가지 않았다. 선발투수가 2이닝 이하 투구를 펼친 건 지난 5월 9일 목동 넥센전(서재응 1⅔이닝) 이후 처음이었다. 유창식의 조기 강판은 곧 KIA의 패배로 직결됐다.
KIA의 6월 성적은 5승 4패. 선발투수가 5회까지도 못 버티고 강판된 건 2번이었다. 공교롭게 모두 유창식(3일 4이닝 5실점 4자책-12일 2이닝 4실점)이었다. 5월 말에는 임준혁이 그러했다. 그 외에는 선발투수가 적어도 5회는 막아줬다. 그리고 그 선발진이 버팀으로써 KIA는 승수를 쌓아왔다.
KIA가 최근 선발투수가 조기 강판된 가운데 승리한 건 지난 5월 20일 사직 롯데전(KIA 9-5 승)이었다. 홍건희의 9탈삼진 호투에 타선(12안타 1홈런 9득점)이 폭발하기도 했으나 상대 선발투수(박세웅 ⅔이닝)도 함께 무너졌기에 가능했던 승리였다.
선발투수가 ‘최소한의 책임을 짊어지지 않는다면, KIA는 힘겨울 수밖에 없다. 뒤로 갈수록 반전 요소를 찾기란 어려웠다. 홍건희, 임준혁이 뒤이어 바통을 넘겨받았으나 뒤바뀐 흐름을 돌리기엔 늦고 벅찼다.
믿음의 선발야구가 KIA의 최대 강점이다. 그런데 그 강점을 발휘하지 않고선 이기기란 더욱 힘들다. 그 현주소가 여실히 드러났던 지난 12일 경기였다. 호랑이군단에겐 선발야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달은 하루였다.
[rok1954@maekyung.com][ⓒ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