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교통사고…단독사고가 사망률 높아
입력 2015-06-08 15:20 

차량 단독사고에서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이 다른 교통사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 단독사고란 자동차 충돌이나 대인(對人)사고 등 자동차 사고의 상대방이 없는 자동차 사고를 말한다. 예컨대, 커브길에서 운전부주의로 도로를 이탈해 발생하는 사고 등이 해당된다.
8일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경찰청 교통사고 통계자료를 활용해 2011∼2013년 차량 단독사고 특성을 분석한 결과, 차량 단독사고 건수는 전체 교통사고의 4.9%(3만2364건)에 불과하지만 사망자 수는 23.0%(3천612명)로 치사율이 11.2%에 달했다.
이는 차량 대(對) 차량 사고의 치사율 1.3%보다 8.6배 높은 수치다.

차 대 차 사고는 같은 기간 전체 교통사고의 72.6%(47만9392건), 사망자 수도 전체의 39.4%(6186명)를 차지할 정도로 많았지만 치사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차량 대 사람 교통사고의 치사율도 4.0%로 차량 단독사고보다 낮았다.
차량 단독사고만 분석한 결과 치사율이 가장 높은 시간대는 오전 4∼6시로 13.5%였다.
65세 이상 운전자가 차량 단독사고를 냈을 때 치사율은 13.7%로 65세 미만 운전자(10.7%)보다 높았다.
아울러 도로가 커브 구간일 때 발생한 차량 단독사고에서 사망자가 나온 비율은 17.0%로 직선 구간 치사율(8.3%)보다 두 배가량 많았다.
연구소는 차량 단독사고 치사율을 낮추는 데 ‘긴급통보 시스템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긴급통보 시스템은 중상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때 차량 내 감지기와 위성 시스템 등을 이용해 자동으로 경찰이나 119에 구조요청을 보내는 시스템이다.
영국 자동차기술컨설팅사가 조사한 결과 이 시스템이 도입되면 사고 대응에 걸리는 시간이 산간지역에선 약 10분, 도시에서는 약 5분 단축되고 사망자 수도 5∼10% 줄이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소는 2013년 교통사고 사망자 1명에 대한 사회적 비용은 4억3천923만원으로 자동콜 시스템이 도입돼 사망자 수가 줄어들면 연간 269억6천872만∼539억3천744만원의 비용이 절감된다”고 주장했다.
장택영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박사는 심야시간대 한적한 도로, 특히 커브 구간을 주행할 때에는 커브 도로 진입 전에 충분히 감속해야 한다”며 긴급통보 시스템 구축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