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성모병원, 방문자 전수조사 착수…확산 차단 가능성은?
정부가 5일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발생 의료기관인 경기도 평택의 평택성모병원 방문자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곳이 국내 메르스의 '진원지'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국내 최초 메르스 환자가 지난달 15∼17일 입원했던 이 병원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30명의 2차·3차 감염자가 발생했습니다. 국내 전체 확진환자의 73.2%가 이곳에서 나온 셈입니다.
이 때문에 복지부는 평택성모병원에서 감염의 고리를 끊어내면 추가 확산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그간 고수하던 의료기관명 비공개 원칙도 버리고 위험기간 방문자들의 자진 신고를 요청한 것입니다.
복지부는 지난달 20일 국내 메르스 환자가 처음 확인되고 이튿날 평택성모병원에 첫 환자와 함께 입원했던 70대 환자가 연이어 메르스 확진을 받자 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해온 병원 의료진과 가족 64명을 격리조치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격리망 바깥에서 평택성모병원발 환자는 끊임없이 나왔고 결국 격리대상이 확대되자 진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병원은 지난 29일 자진 폐쇄했습니다.
결국 첫 환자가 이 병원을 찾은 지난 15일부터 자진 폐쇄한 29일까지가 메르스 감염 위험기간이 됩니다.
정부는 지난 4일까지는 평택성모병원의 의료진이나 환자, 간병자 사이에서 감염자가 확인될 경우 모두 첫 환자의 2차 감염자로 분류해왔습니다.
첫 환자가 병원을 떠난 지난달 17일로부터 최대 잠복기인 14일째인 31일 이후에도 평택성모병원발 환자가 확인됐음에도 복지부는 증상이 잠복기 내에 발현됐으나 우선순위에 밀려 진단이 늦어진 것이라는 등의 이유로 2차 감염자로 규정했습니다.
그러나 5일 확진을 받은 평택성모병원발 환자 3명은 첫 환자로부터 감염됐다고 보기에는 증상 발현이 지나치게 늦다는 점 때문에 3차 감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사실상 그 이전에도 평택성모병원에서 3차 감염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첫 감염자가 강력한 '슈퍼 전파자'라는 설명보다는 평택성모병원이라는 공간의 특성이 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설명도 설득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정부와 함께 평택성모병원 역학조사를 실시했던 최보율 한양대 교수는 "병실마다 환기구와 배기구가 있어야 하는데 첫 환자가 입원했던 병원엔 에어컨만 있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비말이 상당히 오래 축적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설명대로라면 평택성모병원이 다른 의료기관보다 감염을 용이하게 있는 여러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고, 따라서 이 병원을 통한 감염만 조속히 진단해 대처하면 확산 추세를 저지할 가능성도 커집니다.
평택성모병원에 환자나 의료진이 마지막으로 있었던 시점이 지난달 29일이므로, 만약 이때 감염돼서 최대 잠복기간을 거쳤다고 해도 오는 12일이면 평택성모병원발 환자는 논리적으로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12일 전후로 환자 발생 추이가 어떤 식으로 나타날지가 향후 확산 추세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평택성모병원 외 다른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3차 감염 사례입니다.
현재까지 추가 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은 평택성모병원을 다녀간 16번째 환자가 입원했던 ⓔ병원과 ⓕ병원, 그리고 역시 평택성모병원에 입원했던 14번 환자가 입원한 삼성서울병원입니다.
ⓔ병원에서 3명, ⓕ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각각 2명의 환자가 3차 감염자로 확인됐습니다.
일반적으로 3차 감염은 2차 감염에 비해 전파력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에도 이미 2∼3명에게 전파됐다는 점에서 이들의 또다른 진앙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더구나 이들 의료기관은 메르스 확진 환자가 다녀간 '감염 위험기간'도 평택성모병원에 비해 늦기 때문에 추가 환자 가능성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복지부는 일단 이들 병원은 평택성모병원에 비해 감염력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료기관 공개나 전수 조사 방침은 밝히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병율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도 "이들 3곳 의료기관은 총체적으로 문제가 있던 평택성모병원과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며 "환자 발생 후 격리조치와 소독 등이 적절히 이뤄졌고 환자가 바이러스를 내뿜으며 돌아다닌 기간도 거의 없기 때문에 이들 병원에서 평택성모병원처럼 다수의 환자가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습니다.
정부가 5일 국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발생 의료기관인 경기도 평택의 평택성모병원 방문자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힌 것은 이곳이 국내 메르스의 '진원지'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국내 최초 메르스 환자가 지난달 15∼17일 입원했던 이 병원에서는 지금까지 모두 30명의 2차·3차 감염자가 발생했습니다. 국내 전체 확진환자의 73.2%가 이곳에서 나온 셈입니다.
이 때문에 복지부는 평택성모병원에서 감염의 고리를 끊어내면 추가 확산을 빠르게 차단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그간 고수하던 의료기관명 비공개 원칙도 버리고 위험기간 방문자들의 자진 신고를 요청한 것입니다.
복지부는 지난달 20일 국내 메르스 환자가 처음 확인되고 이튿날 평택성모병원에 첫 환자와 함께 입원했던 70대 환자가 연이어 메르스 확진을 받자 이들과 밀접하게 접촉해온 병원 의료진과 가족 64명을 격리조치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격리망 바깥에서 평택성모병원발 환자는 끊임없이 나왔고 결국 격리대상이 확대되자 진료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병원은 지난 29일 자진 폐쇄했습니다.
결국 첫 환자가 이 병원을 찾은 지난 15일부터 자진 폐쇄한 29일까지가 메르스 감염 위험기간이 됩니다.
정부는 지난 4일까지는 평택성모병원의 의료진이나 환자, 간병자 사이에서 감염자가 확인될 경우 모두 첫 환자의 2차 감염자로 분류해왔습니다.
첫 환자가 병원을 떠난 지난달 17일로부터 최대 잠복기인 14일째인 31일 이후에도 평택성모병원발 환자가 확인됐음에도 복지부는 증상이 잠복기 내에 발현됐으나 우선순위에 밀려 진단이 늦어진 것이라는 등의 이유로 2차 감염자로 규정했습니다.
그러나 5일 확진을 받은 평택성모병원발 환자 3명은 첫 환자로부터 감염됐다고 보기에는 증상 발현이 지나치게 늦다는 점 때문에 3차 감염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사실상 그 이전에도 평택성모병원에서 3차 감염이 이뤄졌을 가능성도 있다는 점에서 첫 감염자가 강력한 '슈퍼 전파자'라는 설명보다는 평택성모병원이라는 공간의 특성이 감염에 취약할 수 있다는 설명도 설득력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정부와 함께 평택성모병원 역학조사를 실시했던 최보율 한양대 교수는 "병실마다 환기구와 배기구가 있어야 하는데 첫 환자가 입원했던 병원엔 에어컨만 있었다"며 "이런 상황에서는 비말이 상당히 오래 축적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설명대로라면 평택성모병원이 다른 의료기관보다 감염을 용이하게 있는 여러 조건을 갖추고 있는 셈이고, 따라서 이 병원을 통한 감염만 조속히 진단해 대처하면 확산 추세를 저지할 가능성도 커집니다.
평택성모병원에 환자나 의료진이 마지막으로 있었던 시점이 지난달 29일이므로, 만약 이때 감염돼서 최대 잠복기간을 거쳤다고 해도 오는 12일이면 평택성모병원발 환자는 논리적으로 더이상 나오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12일 전후로 환자 발생 추이가 어떤 식으로 나타날지가 향후 확산 추세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문제는 평택성모병원 외 다른 의료기관에서 발생한 3차 감염 사례입니다.
현재까지 추가 환자가 발생한 의료기관은 평택성모병원을 다녀간 16번째 환자가 입원했던 ⓔ병원과 ⓕ병원, 그리고 역시 평택성모병원에 입원했던 14번 환자가 입원한 삼성서울병원입니다.
ⓔ병원에서 3명, ⓕ병원과 삼성서울병원에서 각각 2명의 환자가 3차 감염자로 확인됐습니다.
일반적으로 3차 감염은 2차 감염에 비해 전파력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음에도 이미 2∼3명에게 전파됐다는 점에서 이들의 또다른 진앙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더구나 이들 의료기관은 메르스 확진 환자가 다녀간 '감염 위험기간'도 평택성모병원에 비해 늦기 때문에 추가 환자 가능성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복지부는 일단 이들 병원은 평택성모병원에 비해 감염력이 두드러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료기관 공개나 전수 조사 방침은 밝히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병율 연세대 보건대학원 교수도 "이들 3곳 의료기관은 총체적으로 문제가 있던 평택성모병원과 상황이 완전히 다르다"며 "환자 발생 후 격리조치와 소독 등이 적절히 이뤄졌고 환자가 바이러스를 내뿜으며 돌아다닌 기간도 거의 없기 때문에 이들 병원에서 평택성모병원처럼 다수의 환자가 나올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