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바이러스,중국 체류중인 한국인 까지 환자 총 10명으로 늘어…예방법은?
중국으로 출국한 한국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관영 중국중앙(CC)TV가 29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보건당국은 이날 광둥(廣東)성 후이저우(惠州)시에서 격리 치료를 받고 있는 한국인 남성 K씨에 대한 검체를 확인한 결과 확진 판정을 내렸다고 발표했습니다.
K씨는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후 보건당국의 통제 없이 국내에서 11일간 일상생활을 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K씨의 그간 행적과 접촉자, 이동 장소 등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불가피해졌습니다.
K씨는 메르스 환자와 밀접접촉했지만 이 사실을 보건당국에 알리지 않아 자택 격리 관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사람입니다.
세 번째 환자 C씨의 아들이자 네 번째 환자 D씨의 동생으로, 아버지 C씨를 병문안하고자 지난 16일 ⓑ병원을 방문해 국내 첫 메르스 환자 A씨와 C씨가 입원한 병실에 4시간가량 머물렀습니다.
보건당국은 K씨가 이 때 A씨로부터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방문 후 3일 뒤인 19일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해 22일과 25일 한 병원의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지만 의료진 역시 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K씨는 의료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26일 홍콩을 경유해 중국 광저우로 출장을 갔습니다.
K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만큼 보건당국은 그가 메르스 환자를 접촉한 16일부터 출국한 26일까지 11일간의 행적을 샅샅이 조사해 밀접접촉자를 찾아내는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입니다.
행적 확인이 필요한 기간은 메르스의 최대 잠복기인 초반 이틀을 빼더라도 9일이나 됩니다.
보건당국은 이미 밀접 접촉자인 K씨가 통제 없이 일상행활을 한 것을 알게 된 지난 27일부터 우선 K씨의 가족을 비롯해 직장 동료, 항공기 승무원과 주변 승객 등 42명에 대해 격리 관찰을 하고 있습니다.
메르스를 일으키는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MERS-CoV)는 치사율이 40%를 넘고 사스의 3배 수준으로 일단 감염되면 치명적입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기는 중증 급성 호흡기질환으로 고열과 기침,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또한 중증급성호흡기 질환 증상과 함께 콩팥 기능이 떨어지는 신부전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치료제와 백신이 없습니다.
따라서 메르스에 감염되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아직 정확한 감염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오랜 시간 지속하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질병관리본부의 '2014 중동호흡기증후군 예방 및 관리지침'을 보면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2m 주변에 1시간 이상 함께 머문 사람을 '밀접접촉자'로 분류해 격리합니다.
이 밖에도 낙타 시장·농장에 방문하거나 멸균하지 않은 낙타유(乳)를 섭취하는 등 낙타와 관련된 감염 사례도 다수 보고돼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의 면역력이 바이러스를 몰아낼 때까지 생명력을 유지해주는 방식으로 치료합니다.
숨을 쉬지 못하면 인공호흡기를 달고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투석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증세가 극도로 심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폐 기능이 떨어져 사망에 이릅니다.
일단 걸리면 40%가 목숨을 잃을 정도로 치명적인 만큼 평소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관리본부가 제시한 메르스 예방 기본 수칙을 보면 평소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중동지역을 여행할 때는 낙타, 박쥐, 염소 등 동물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기침할 때는 화장지나 손수건, 옷소매 위쪽 등으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하고,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는 되도록 방문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38도 이상의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마스크를 쓰고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4년 동안 이 병에 걸린 사람이 1천여 명으로 많지 않은 편이고 지역도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으로 한정돼 있어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합니다.
중동지역을 방문하는 것도 기본수칙을 지킨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중국으로 출국한 한국인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의심 환자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관영 중국중앙(CC)TV가 29일 보도했습니다.
중국 보건당국은 이날 광둥(廣東)성 후이저우(惠州)시에서 격리 치료를 받고 있는 한국인 남성 K씨에 대한 검체를 확인한 결과 확진 판정을 내렸다고 발표했습니다.
K씨는 감염자와 밀접 접촉한 후 보건당국의 통제 없이 국내에서 11일간 일상생활을 한 바 있습니다.
이에 따라 K씨의 그간 행적과 접촉자, 이동 장소 등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가 불가피해졌습니다.
K씨는 메르스 환자와 밀접접촉했지만 이 사실을 보건당국에 알리지 않아 자택 격리 관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사람입니다.
세 번째 환자 C씨의 아들이자 네 번째 환자 D씨의 동생으로, 아버지 C씨를 병문안하고자 지난 16일 ⓑ병원을 방문해 국내 첫 메르스 환자 A씨와 C씨가 입원한 병실에 4시간가량 머물렀습니다.
보건당국은 K씨가 이 때 A씨로부터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방문 후 3일 뒤인 19일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해 22일과 25일 한 병원의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았지만 의료진 역시 신고를 하지 않았습니다.
K씨는 의료진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26일 홍콩을 경유해 중국 광저우로 출장을 갔습니다.
K씨가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만큼 보건당국은 그가 메르스 환자를 접촉한 16일부터 출국한 26일까지 11일간의 행적을 샅샅이 조사해 밀접접촉자를 찾아내는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입니다.
행적 확인이 필요한 기간은 메르스의 최대 잠복기인 초반 이틀을 빼더라도 9일이나 됩니다.
보건당국은 이미 밀접 접촉자인 K씨가 통제 없이 일상행활을 한 것을 알게 된 지난 27일부터 우선 K씨의 가족을 비롯해 직장 동료, 항공기 승무원과 주변 승객 등 42명에 대해 격리 관찰을 하고 있습니다.
메르스를 일으키는 메르스 코로나 바이러스(MERS-CoV)는 치사율이 40%를 넘고 사스의 3배 수준으로 일단 감염되면 치명적입니다.
중동호흡기증후군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돼 생기는 중증 급성 호흡기질환으로 고열과 기침, 호흡곤란과 같은 증상을 보입니다.
또한 중증급성호흡기 질환 증상과 함께 콩팥 기능이 떨어지는 신부전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치료제와 백신이 없습니다.
따라서 메르스에 감염되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아직 정확한 감염 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오랜 시간 지속하면 전염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질병관리본부의 '2014 중동호흡기증후군 예방 및 관리지침'을 보면 증상을 보이는 환자의 2m 주변에 1시간 이상 함께 머문 사람을 '밀접접촉자'로 분류해 격리합니다.
이 밖에도 낙타 시장·농장에 방문하거나 멸균하지 않은 낙타유(乳)를 섭취하는 등 낙타와 관련된 감염 사례도 다수 보고돼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환자의 면역력이 바이러스를 몰아낼 때까지 생명력을 유지해주는 방식으로 치료합니다.
숨을 쉬지 못하면 인공호흡기를 달고 콩팥 기능이 떨어지면 투석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증세가 극도로 심하면 생명을 유지할 수 없을 만큼 폐 기능이 떨어져 사망에 이릅니다.
일단 걸리면 40%가 목숨을 잃을 정도로 치명적인 만큼 평소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병관리본부가 제시한 메르스 예방 기본 수칙을 보면 평소 손 씻기 등 개인위생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중동지역을 여행할 때는 낙타, 박쥐, 염소 등 동물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해야 합니다.
기침할 때는 화장지나 손수건, 옷소매 위쪽 등으로 입과 코를 가려야 하고, 사람이 많이 붐비는 장소는 되도록 방문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38도 이상의 발열,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마스크를 쓰고 즉시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4년 동안 이 병에 걸린 사람이 1천여 명으로 많지 않은 편이고 지역도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으로 한정돼 있어 과도하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합니다.
중동지역을 방문하는 것도 기본수칙을 지킨다면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