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국민은 치매에 걸릴 경우 임상 시험에 참여하겠다고 밝히는 등 적극적인 치료 의사를 가졌지만, 정작 치매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검사는 높은 가격 때문에 망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은 지난해 12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88.3%(883명)는 치매 진단 시 질병의 진행을 늦추는 치료를 받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11일 밝혔다.
개발 중인 치료약을 복용하는 등 치매 임상시험에 참여하겠다고 밝힌 응답자도 60.6%(606명)나 됐다.
그러나 치매를 조기에 진단하기 위한 FDG-PET(불화디옥시포도당 양전자 단층촬영) 검사를 받겠느냐는 질문에는 3분의 2가 넘는 688명(68.8%)이 검사를 받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유로는 비용에 대한 부담(74.6%·593건)이 가장 많이 꼽혔다. 해당 검사는 평균 비용이 60만∼120만원(보건복지부 고시 70만원)으로 보험 비급여 대상이다.
현재 이뤄지는 치매의 대증요법(치매의 진행 속도를 늦추고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은 물론이고 임상 시험 중인 치료제가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도 조기에 치매를 발견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으로 보고된다.
방사성 의약품을 체내에 주입해 이상 세포를 탐지하는 FDG-PET 검사는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보다 이른 시기에 치매를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싼 비용이 단점이다.
이와 관련해 NECA는 지난해 9월 임상전문가들과 정책결정자들을 모아 놓고 알츠하이머 치매의 조기 진단을 위해 FDG-PET에 건강보험급여를 적용할지 토론했지만 결론을 내지 못했다.
가천대 길병원,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서울보라매병원 등의 임상 전문가들은 치매 초기단계 진단에 FDG-PET 검사가 필요하지만 현재 보험 급여가 적용되지 않는다”며 어려움을 호소했다.
반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건강보험공단 등 보험 관련 정책을 결정하는 쪽에서는 FDG-PET 검사의 진단 효과 및 치료 방법에 대한 과학적 근거가 불충분하고 건강검진 목적으로 사용하면 과잉진단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어 보험 적용은 시기상조”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