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기업 워크아웃 특혜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올 3월 경남기업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으로 시작된 검찰 수사의 칼날이 7일 금융감독원 등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금융권을 정조준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금융권 '성완종 리스트'가 나올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애초 성완종 전 회장이 자원개발사업 과정에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잡고 수사를 벌이면서 정치권을 우선 사정권에 놓고 있었다.
성 전 회장의 신병을 확보한 뒤 정치권 유착 의혹을 파헤치고 그다음 금융권으로 비리 의혹을 파헤칠 계획이었다.
하지만 성 전 회장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함께 현 정권 실세들의 이름이 적힌 '성완종 리스트 8인'이 나오면서 정치권 금품 로비 의혹이 불거지자 검찰도 특별수사팀을 꾸릴 수밖에 없었다.
검찰의 이날 압수수색은 성 전 회장의 사망으로 다소 틀어졌던 수사 궤도가 복원됐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애초 경남기업 비리를 수사했던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여론의 관심이 성완종 리스트에 쏠린 사이 물밑에서 꾸준히 경남기업 워크아웃 특혜 의혹에 관련된 단서를 수집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격적인 압수수색을 두고 의혹을 뒷받침할 정황 증거를 상당수 확보한 상태에서 수사의 밑그림을 어느 정도 완성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2013년 10월 경남기업 3차 워크아웃 당시 충북 충주 출신인 조영제 부원장이 은행·중소서민 영역을 담당하고 있었고, 기업구조조정 업무를 담당하는 기업금융개선국장 역시 충청권 인사로 분류되는 김진수 선임국장이었다.
당시 기업금융구조개선국장 등을 주축으로 금감원이 대주주의 무상감자 없는 출자전환을 승인토록 채권금융기관협의회에 압력을 넣었다는 것이다.
당시 경남기업 대주주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 있던 성 전 회장이었다.
검찰은 성 전 회장이 대주주 신분을 유지하고자 금감원 수뇌부를 상대로 금품 로비를 한 게 아닌지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여기에는 성완종 리스트 의혹을 수사하는 특별수사팀이 확보한 성 전 회장의 생전 대외활동 자료가 상당히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 자료에는 성 전 회장이 당시 김진수 당시 국장을 비롯해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김용환 수출입은행장 등을 전방위적으로 접촉한 기록이 그대로 남아있다.
성 전 회장의 정치권 로비 의혹이 거의 사실로 굳어지는 가운데 금융권의 고위 인사들까지 비리에 연루됐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 3월 경남기업의 자원외교 비리 의혹으로 시작된 검찰 수사의 칼날이 7일 금융감독원 등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금융권을 정조준하는 모양새다.
이에 따라 금융권 '성완종 리스트'가 나올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은 애초 성완종 전 회장이 자원개발사업 과정에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한 정황을 잡고 수사를 벌이면서 정치권을 우선 사정권에 놓고 있었다.
성 전 회장의 신병을 확보한 뒤 정치권 유착 의혹을 파헤치고 그다음 금융권으로 비리 의혹을 파헤칠 계획이었다.
하지만 성 전 회장의 갑작스러운 사망과 함께 현 정권 실세들의 이름이 적힌 '성완종 리스트 8인'이 나오면서 정치권 금품 로비 의혹이 불거지자 검찰도 특별수사팀을 꾸릴 수밖에 없었다.
검찰의 이날 압수수색은 성 전 회장의 사망으로 다소 틀어졌던 수사 궤도가 복원됐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애초 경남기업 비리를 수사했던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임관혁 부장검사)는 여론의 관심이 성완종 리스트에 쏠린 사이 물밑에서 꾸준히 경남기업 워크아웃 특혜 의혹에 관련된 단서를 수집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전격적인 압수수색을 두고 의혹을 뒷받침할 정황 증거를 상당수 확보한 상태에서 수사의 밑그림을 어느 정도 완성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2013년 10월 경남기업 3차 워크아웃 당시 충북 충주 출신인 조영제 부원장이 은행·중소서민 영역을 담당하고 있었고, 기업구조조정 업무를 담당하는 기업금융개선국장 역시 충청권 인사로 분류되는 김진수 선임국장이었다.
당시 기업금융구조개선국장 등을 주축으로 금감원이 대주주의 무상감자 없는 출자전환을 승인토록 채권금융기관협의회에 압력을 넣었다는 것이다.
당시 경남기업 대주주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 있던 성 전 회장이었다.
검찰은 성 전 회장이 대주주 신분을 유지하고자 금감원 수뇌부를 상대로 금품 로비를 한 게 아닌지 유심히 살펴보고 있다.
여기에는 성완종 리스트 의혹을 수사하는 특별수사팀이 확보한 성 전 회장의 생전 대외활동 자료가 상당히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이 자료에는 성 전 회장이 당시 김진수 당시 국장을 비롯해 이팔성 전 우리금융지주 회장, 임종룡 NH농협금융지주 회장, 김용환 수출입은행장 등을 전방위적으로 접촉한 기록이 그대로 남아있다.
성 전 회장의 정치권 로비 의혹이 거의 사실로 굳어지는 가운데 금융권의 고위 인사들까지 비리에 연루됐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매경닷컴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