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실 마지막 회화, 왕이 쓰던 익선간에 있다?…어떻게 생겼길래
조선 왕실 회화, 조선 왕실 회화, 조선 왕실 회화
조선 왕실 회화, 익선간에 그려진 그림 정체는?
조선 왕실 마지막 회화, 왕이 쓰던 익선간에 있다?…어떻게 생겼길래
조선 왕실 마지막 회화 공개 소식에 익석관 소식까지 주목을 받고 있다.
조선시대 왕이 집무를 볼 때 쓰는 모자를 익선관이라고 한다. 세종대왕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익선관이 발견돼 처음 공개됐는데, 여기에는 훈민정음 활자본이 새겨져 있다고 한다. 처음 공개된 익선관의 머리 둘레는 57cm, 높이는 27cm이다.
주로 흙색 바탕의 천에 금실 등으로 용, 모란꽃을 비롯해 장수를 상징하는 '만'자와 '왕' 자 가 수놓아져 있다. 또 4개의 발톱이 달린 사조용 2마리와 13개의 삼각 장식이 달렸다.
과학적 검증을 거쳐야 진위를 알 수 있지만, 이 익선관은 임진왜란 당시 약탈당한 궁중 유물로 세종대왕이 쓴 것으로 추정된다.
경북대 이상규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세종 26년 1444년 이전에는 (용의 발톱)사조용이다. 이 유물은 사조용으로 되어 있고 1446년 3월 이후는 오조용으로 바뀐다"고 말했다.
특히 익선관에는 훈민정음 해례본보다 앞선 훈민정음 제자해 활자본이 들어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연구팀은 세밀한 검증을 통해 사실 여부를 밝히기로 했다.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조선 왕실 회화, 조선 왕실 회화, 조선 왕실 회화
조선 왕실 회화, 익선간에 그려진 그림 정체는?
조선 왕실 마지막 회화, 왕이 쓰던 익선간에 있다?…어떻게 생겼길래
조선 왕실 마지막 회화 공개 소식에 익석관 소식까지 주목을 받고 있다.
조선시대 왕이 집무를 볼 때 쓰는 모자를 익선관이라고 한다. 세종대왕이 쓴 것으로 추정되는 익선관이 발견돼 처음 공개됐는데, 여기에는 훈민정음 활자본이 새겨져 있다고 한다. 처음 공개된 익선관의 머리 둘레는 57cm, 높이는 27cm이다.
주로 흙색 바탕의 천에 금실 등으로 용, 모란꽃을 비롯해 장수를 상징하는 '만'자와 '왕' 자 가 수놓아져 있다. 또 4개의 발톱이 달린 사조용 2마리와 13개의 삼각 장식이 달렸다.
과학적 검증을 거쳐야 진위를 알 수 있지만, 이 익선관은 임진왜란 당시 약탈당한 궁중 유물로 세종대왕이 쓴 것으로 추정된다.
경북대 이상규 국어국문학과 교수는 "세종 26년 1444년 이전에는 (용의 발톱)사조용이다. 이 유물은 사조용으로 되어 있고 1446년 3월 이후는 오조용으로 바뀐다"고 말했다.
특히 익선관에는 훈민정음 해례본보다 앞선 훈민정음 제자해 활자본이 들어 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연구팀은 세밀한 검증을 통해 사실 여부를 밝히기로 했다.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