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육·해·공군참모총장 '내빈용 차량' 없앤다
입력 2015-04-19 14:29 
국방부가 일부 부대장과 지휘관, 간부들의 군 관용차량 사적 이용 논란이 계속되자 육·해·공군 참모총장의 내빈용 차량부터 없애는 특단의 조치를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방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19일 "군부대나 관사에서 관용차를 사적으로 사용하는 관행을 끊기 위해 육·해·공군 참모총장의 내빈용 차량부터 없애기로 했다"면서 "며칠 내로 시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관용차를 공적인 용도로만 사용하는 관행을 정착시키고자 최고 지휘관들부터 솔선수범하기로 한 것입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부임한 이후 자신에게 제공된 내빈용 차량을 반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내빈용 차량은 장관과 참모총장의 업무와 관련해 손님이 찾아올 때 역이나 터미널 등에서 이들을 태워 공관으로 데려오는 데 쓰는 고급 승용차입니다.

그러나 내빈용 차량과 같은 관용차가 가족 등의 사적인 용도로 사용될 가능성은 상존해왔다.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일부 지휘관과 간부들이 관용차를 이용해 골프장에 가는 등 사적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습니다.

최차규 공군총장도 최근 공군작전사령관 시절 부인이 관용차를 사적인 일에 썼다는 글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와 공군이 곤욕을 치르기도 했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앞으로는 장관과 3군 참모총장들도 손님을 맞이하려면 수송부대 등에 차량을 신청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방부는 최고위급 지휘관들의 내빈용 차량을 없애는 것 외에도 일선 부대 간부들이 관용차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관행도 척결하기로 했습니다.

인물 중심이 아니라 업무 중심의 배차 관행을 정착시킴으로써 간부들이 특정 관용차를 마치 자신의 차량인 것처럼 여길 가능성을 차단한다는 것입니다.

이와 관련,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간부 회의에서 "관용차를 사적으로 이용하는 관행을 철저히 뿌리 뽑을 것"이라며 "관용차 운행과 관련한 규정을 엄격히 지킬 것"을 여러 차례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국방부 관계자는 "앞으로 관용차를 사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관행을 근절하기 위한 추가 대책들을 내놓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