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
[M+영화愛人] 심현섭 의상실장, ‘눈’만 즐겼던 의상에 ‘감정’ 담았다
입력 2015-03-21 13:15 
사진=포스터
한 영화가 개봉되기까지 많은 과정과 다양한 사람들을 거치게 된다. 영화감독을 시작으로 배우, 촬영감독, 음악감독, 미술감독, 제작진, 의상 팀, 무술 팀, 투자자, 배급사, 매니저, 홍보사 등 너무도 다양한 사람들이 힘을 다해 제작에 열을 올린다. 그러나 늘 영화가 개봉되면 배우 또는 감독만이 인터뷰를 통해 못 다한 이야기를 전하곤 한다. 보이지 않는 곳에서 최선을 다하는 이들의 숨은 이야기를 거침없이 파헤쳐본다. <편집자 주>


[MBN스타 여수정 기자] 사극 영화는 다른 작품에 비해 의상과 액세서리, 무대 등이 화려해 더 풍성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영화 ‘순수의 시대 역시 그랬다. 배우들의 연기도 좋았지만 눈을 뗄 수 없는 이들의 의상이 가장 돋보였다.

1398년을 배경으로 삼은 만큼 고려와 조선 그 사이의 애매모호한 경계를 의상으로 표현했다. 거기에 김민재(신하균 분), 이방원(장혁 분), 가희(강한나 분), 진(강하늘 분) 등 인물이 처한 상황과 심리까지 의상에 담아 한복 그 이상의 가치를 표현하고 있다.

‘왕의 남자 ‘궁녀 ‘님은 먼곳에 ‘불꽃처럼 나비처럼 ‘평양성 ‘연가시 ‘점쟁이들 ‘관상 ‘소원 등에 의상 팀으로 참여했던 심현섭 의상실장이 ‘순수의 시대에 힘을 보태 전작보다 더욱 섬세해진 실력을 제대로 뽐냈다. 덕분에 의상만으로도 4인4색을 느낄 수 있고 인물의 감정과 상황을 품은 의상의 연속으로 지루할 틈이 없다.

감독님과 의상 콘셉트적인 부분에 대해 많이 회의를 했다. ‘순수의 시대의 배경이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온 지 10년도 안된 상황이었다. 때문에 의상으로나마 두 시대가 복합적으로 표현되는 느낌을 주려고 했다. 아직 왕권 확립이 안 된, 소위 말하는 질풍노도의 시기가 배경이었기에 의상에 대한 톤을 거칠고 무겁게 가려고 했다.”

영화를 본 관객들은 김민재와 이방원, 가희, 진의 의상이 이들의 상황과 심리를 대변해주고 있다는 걸 알 것이다. 의상을 통한 확실한 경계가 인물관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는 건 물론,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아름답고 섬세해 감탄을 안기기도 한다. 특히 기녀 가희의 의상은 배우 강한나와 캐릭터 가희의 매력을 동시에 강조시키기까지 한다.

민재를 상징하는 건 블루나 블랙이다. 블랙은 유니폼적인 느낌이었고 블루가 대표적인 색상이었다. 블루를 통해 충신이자 청렴결백한 이미지를 표현하려했고, 블랙은 강한 장군의 모습을 포인트 준 것이다. 방원은 피에 대한 느낌을 주기 위해 붉은 톤 위주로 갔다. 가희는 팔색조라 생각했다. 때문에 한 색상보다는 순간순간 변화무쌍한 부분을 표현하려고 다양한 색을 사용했다. 강렬한 레드도 있고 민재와의 연애적인 장면에서는 유한 파스텔 톤을, 여자의 한을 강조할 때는 하얀 색을 사용했다. 그러나 전제적으로 봤을 땐, 어떤 색상을 강조했기보다는 신의 감정선에 따라 팔색조로 표현하려고 했다. 진의 경우, 방원과 마찬가지로 아픔이 많은 인물이다. 사치스러운 부분과 한, 아픔 등의 감정이 골고루 있기에 메인 칼라는 파스텔 톤이었다. 이중적인 코드와 최상류층의 부마로서의 사치 등을 위해 강렬함 보다는 유한 부분을 강조하려 했다.”

앞서 언급했듯. 기녀 가희 의상에는 오히려 화려함을 빼고 팔색조 느낌을 담았다. ‘관상 연홍(김혜수 분)의 경우 기방의 우두머리였기에 톤을 다운시키면서도 임팩트를 표현하려했다. 반대로 가희는 일상복에선 의도적으로 매우 평범한 톤을 유지했다. 무복에서만 칼라적으로 임팩트를 줬다. 때문에 연홍과 가희는 조금 반대적인 코드인 셈이다. 섹시함보다는 여성스러움과 민재로 하여금 엄마를 연상케 할 정도 여성스러운 느낌을 담고자 했다.”

사진=스틸
만족이란 건 없지만 의상을 통해 캐릭터를 표현한 것에는 조금은 성공한 것 같다고 시종일관 겸손함을 보였던 심현섭 의상실장. 그는 인물을 너무 극단적으로 표현한 것도 같다. 이는 앞으로 풀어나갈 숙제”라고 의견을 내놓았다. 다양한 작품에 힘을 보태고 있는 심현섭 의상실장은 영화인으로 산다는 건 어떠냐는 질문에 고민 없이 겸손함으로 답변을 이어갔다.

최근에 혹시, 나도 영화인이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한다. 난 무대공연을 하다 영화를 늦게 시작한 편이다. 그래서 연차와 나이에 비해 참여한 작품 수가 적다. 때문에 아직까지 영화인이라기에는 애매하다. (웃음) 이제 점점 영화인에 근접해가야겠다고 생각하는 정도다. 여전히 많이 배워야겠다고 생각하고 노력하고 있다.”

최준용 기자, 박정선 기자, 여수정 기자 luxurysj@mkculture.com /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mbnstar7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