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는 부족한데 월세는 넘치는 ‘월세시대가 본격화하고 있다.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집주인이 내놓았던 전세 물건을 월세로 바꾸면서 ‘전세의 종언이 더욱 빨라지는 셈이다.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 중 보증부 월세를 포함한 월세 비중은 43.5%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월 42.9%를 기록한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1월 46.7%보다는 다소 낮지만 건수로 따지면 지난달이 4만7635건으로 1년 전 4만7416건보다 많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빨라졌다”며 지난해 10월 가을 이사철을 기점으로 월세 증가폭이 확대되는 추세”라고 전했다. 실제 지난해 10월 38%였던 월세 비중은 11월 39%, 12월 40.2%를 거쳐 지난달에는 전달보다 3.3%포인트나 뛰었다.
월세의 강세는 비단 최근 1~2년 새의 일이 아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 33%에 그쳤던 전체 전월세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은 2012년 34%, 2013년 39.4%까지 올랐고 지난해는 41%까지 치솟았다. 이제 월세가 전체 전월세 거래량에서 절반을 넘어서는 것도 머지않았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 전망이다.
월세 시대를 피할 수 없게 됐지만 여전히 시장에서는 전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다. 지난달 전세 거래량은 6만189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늘어 월세 거래 증가폭(0.5%)을 훌쩍 넘어섰다.
문제는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금 비율)이 치솟으면서 서울에서도 전세가율이 90%를 넘는 단지가 속출해 ‘깡통전세 염려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종암동 SK아파트 전용면적 59㎡ 전세금은 지난달 6일 2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이 아파트의 최근 매매 실거래가격은 2억4900만원으로 전세금과 집값의 차이가 불과 900만원에 불과하다. 서울시내에서만 전세가율이 90%에 달하는 단지가 30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을 처분하거나 경매에 넘어갈 경우 전세보증금을 100%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 염려가 확산되자 정부도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일부 지역에서 80~90%까지 높아진 전세가율에 대해 세입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나치게 높은 전세가 비율은 임차인의 전세보증금 반환을 어렵게 해 세입자의 주거 안정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세입자도 이런 위험요소를 충분히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수장이 직접 나서 깡통전세를 조심하라고 경고한 것이다. 최 부총리는 정부도 전세보증금 원금 반환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등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세입자가 지나치게 높은 전세가율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각 부처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부는 월세 대책만 내놓을 뿐 전세 종언의 연착륙을 위한 뾰족한 대책이 없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현재 전세난은 전세의 월세 전환이라는 과도기에 나타나는 구조적인 문제”라며 여기에 강남4구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지금 당장 뚜렷한 해결책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도 대한주택보증과 서울보증보험의 전세보증금 반환보험에 가입해 안전장치를 마련해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재만 기자 /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월 전국 주택 전월세 거래량 중 보증부 월세를 포함한 월세 비중은 43.5%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2월 42.9%를 기록한 이후 12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지난해 1월 46.7%보다는 다소 낮지만 건수로 따지면 지난달이 4만7635건으로 1년 전 4만7416건보다 많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전세의 월세 전환이 빨라졌다”며 지난해 10월 가을 이사철을 기점으로 월세 증가폭이 확대되는 추세”라고 전했다. 실제 지난해 10월 38%였던 월세 비중은 11월 39%, 12월 40.2%를 거쳐 지난달에는 전달보다 3.3%포인트나 뛰었다.
월세의 강세는 비단 최근 1~2년 새의 일이 아니다. 연도별로 보면 2011년 33%에 그쳤던 전체 전월세 거래 가운데 월세 비중은 2012년 34%, 2013년 39.4%까지 올랐고 지난해는 41%까지 치솟았다. 이제 월세가 전체 전월세 거래량에서 절반을 넘어서는 것도 머지않았다는 게 부동산 전문가 전망이다.
월세 시대를 피할 수 없게 됐지만 여전히 시장에서는 전세 선호 현상이 두드러진다. 지난달 전세 거래량은 6만1897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2% 늘어 월세 거래 증가폭(0.5%)을 훌쩍 넘어섰다.
문제는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세금 비율)이 치솟으면서 서울에서도 전세가율이 90%를 넘는 단지가 속출해 ‘깡통전세 염려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서울 성북구 종암동 SK아파트 전용면적 59㎡ 전세금은 지난달 6일 2억4000만원에 거래됐다. 이 아파트의 최근 매매 실거래가격은 2억4900만원으로 전세금과 집값의 차이가 불과 900만원에 불과하다. 서울시내에서만 전세가율이 90%에 달하는 단지가 30곳이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을 처분하거나 경매에 넘어갈 경우 전세보증금을 100% 돌려받지 못하는 깡통전세 염려가 확산되자 정부도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기로 했다.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근 일부 지역에서 80~90%까지 높아진 전세가율에 대해 세입자가 피해를 보지 않도록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나치게 높은 전세가 비율은 임차인의 전세보증금 반환을 어렵게 해 세입자의 주거 안정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며 세입자도 이런 위험요소를 충분히 감안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경제수장이 직접 나서 깡통전세를 조심하라고 경고한 것이다. 최 부총리는 정부도 전세보증금 원금 반환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등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며 세입자가 지나치게 높은 전세가율로 피해를 보지 않도록 각 부처에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부는 월세 대책만 내놓을 뿐 전세 종언의 연착륙을 위한 뾰족한 대책이 없다. 김현아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실장은 현재 전세난은 전세의 월세 전환이라는 과도기에 나타나는 구조적인 문제”라며 여기에 강남4구 재건축 이주 수요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지금 당장 뚜렷한 해결책은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도 대한주택보증과 서울보증보험의 전세보증금 반환보험에 가입해 안전장치를 마련해 둬야 한다”고 조언했다.
[고재만 기자 /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