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이수영 인턴기자]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이 대졸 여성보다 낮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6일 고려대에 따르면 대학원 경제학과 김모(39)씨는 석사학위 논문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에서 미혼자가 초혼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어떤 요인이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해 김 씨는 2000년 미혼이었던 524명을 10년간 추적하면서 교육수준과 직업 등의 변수들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은 고학력일수록 결혼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여성이 결혼할 수 있는 확률은 고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보다 7.8% 낮았고, 특히 석박사 출신 여성이 결혼할 확률은 대졸 여성에 비해 58.3%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논문은 여성이 교육 수준이 올라갈수록 자신과 비슷한 배우자를 찾기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일자리가 결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컸다.
남성 취업자의 결혼 확률은 미취업자의 1.65배였다. 고용 형태별로는 상시직의 결혼 확률은 비상시직의 1.60배였다.
이에 비해 여성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능력이 결혼하는 데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만 14세 때의 가정형편이 평균 이하 수준일 경우 평균 이상이었던 사람에 비해 결혼할 확률이 약 35% 낮았다.
이는 당시의 경제 형편이 계속 이어졌거나, 이로 인해 만족스럽지 못한 가정생활을 한 경험이 결혼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씨는 결혼이 늦어지는 것은 교육 수준 향상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과 배우자를 찾는 데 드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좋은 일자리를 빨리 구하지 못해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한 결혼률을 높이려면 청년층의 경제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 그렇구나”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 의외의 결과네”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 결혼하고 싶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이 대졸 여성보다 낮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16일 고려대에 따르면 대학원 경제학과 김모(39)씨는 석사학위 논문 ‘왜 결혼이 늦어지는가에서 미혼자가 초혼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에 어떤 요인이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해 김 씨는 2000년 미혼이었던 524명을 10년간 추적하면서 교육수준과 직업 등의 변수들이 결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여성은 고학력일수록 결혼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졸 여성이 결혼할 수 있는 확률은 고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보다 7.8% 낮았고, 특히 석박사 출신 여성이 결혼할 확률은 대졸 여성에 비해 58.3%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논문은 여성이 교육 수준이 올라갈수록 자신과 비슷한 배우자를 찾기가 더 어려워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일자리가 결혼 결정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히 컸다.
남성 취업자의 결혼 확률은 미취업자의 1.65배였다. 고용 형태별로는 상시직의 결혼 확률은 비상시직의 1.60배였다.
이에 비해 여성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능력이 결혼하는 데 큰 영향을 받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만 14세 때의 가정형편이 평균 이하 수준일 경우 평균 이상이었던 사람에 비해 결혼할 확률이 약 35% 낮았다.
이는 당시의 경제 형편이 계속 이어졌거나, 이로 인해 만족스럽지 못한 가정생활을 한 경험이 결혼을 지연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김씨는 결혼이 늦어지는 것은 교육 수준 향상뿐 아니라 경제적 부담과 배우자를 찾는 데 드는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이라며 특히 남성의 경우 좋은 일자리를 빨리 구하지 못해 결혼을 미루거나 포기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또한 결혼률을 높이려면 청년층의 경제력을 끌어올리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누리꾼들은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 그렇구나”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 의외의 결과네” 석 박사 여성 결혼할 확률, 결혼하고 싶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