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품 분석 / 위안화 채권펀드 ◆
국내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해외 채권에 대한 투자 상품이 꾸준히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눈에 띄는 상품은 위안화 채권펀드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하면서 기대 수익이 국내보다 높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의 신용등급은 무디스 평가에 따르면 A3로 동일하다. 하지만 중국 채권 수익률은 한국보다 연 1%포인트 이상 높다. 중국이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채권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도 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중국 채권형 펀드는 목표수익률을 연간 4~5%로 잡고 있는 상품들이다. 역내에 있는 위안화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와 역외 위안화 채권, 즉 딤섬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블랙록위안화채권 펀드는 역외 위안화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국채와 준국채, 하이일드채권에 투자한다. 피델리티중국위안화 펀드는 역내외 위안화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70% 이상 위안화 표시 채권에 투자한다. 두 상품 모두 중국 본토 금리에 연동되는데 금리 인하 시 자본 이득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RQFII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중국 본토채권에 직접투자하는 펀드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RQFII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중국 본토의 주식ㆍ채권에 재간접 방식이 아니라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한도를 주는 제도다. 국내 금융사들 중에서는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이 지난해 10월 가장 먼저 RQFII 라이선스를 취득했고, 11월에는 투자쿼터도 받았다. 올 1월에 중국본토RQFII주식형 펀드를 출시한 신한 측은 조만간 중국본토RQFII채권형·혼합형 펀드를 내놓을 예정이다.
미래자산운용 동양자산운용 NH-CA자산운용 동부자산운용 하나대투증권 등도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쿼터를 획득 중이다.
위안화 채권펀드 투자에서 고려해야 할 리스크도 있다. 채권펀드인 만큼 변수 1순위는 금리 변동 리스크다. 다만 중국이 최근 유동성 확대를 위해 대출 금리 인하 정책을 펴고 있고 상반기 중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이 나오고 있어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이라는 평가다.
[김은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내 저금리 환경이 지속되면서 해외 채권에 대한 투자 상품이 꾸준히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 눈에 띄는 상품은 위안화 채권펀드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자산에 투자하면서 기대 수익이 국내보다 높기 때문이다. 한국과 중국의 신용등급은 무디스 평가에 따르면 A3로 동일하다. 하지만 중국 채권 수익률은 한국보다 연 1%포인트 이상 높다. 중국이 금리를 추가로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리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채권 수익률에 대한 기대감도 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중국 채권형 펀드는 목표수익률을 연간 4~5%로 잡고 있는 상품들이다. 역내에 있는 위안화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와 역외 위안화 채권, 즉 딤섬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로 구분할 수 있다.
블랙록위안화채권 펀드는 역외 위안화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이다. 국채와 준국채, 하이일드채권에 투자한다. 피델리티중국위안화 펀드는 역내외 위안화 채권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70% 이상 위안화 표시 채권에 투자한다. 두 상품 모두 중국 본토 금리에 연동되는데 금리 인하 시 자본 이득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RQFII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중국 본토채권에 직접투자하는 펀드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 RQFII는 외국인 투자자에게 중국 본토의 주식ㆍ채권에 재간접 방식이 아니라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한도를 주는 제도다. 국내 금융사들 중에서는 신한BNP파리바자산운용이 지난해 10월 가장 먼저 RQFII 라이선스를 취득했고, 11월에는 투자쿼터도 받았다. 올 1월에 중국본토RQFII주식형 펀드를 출시한 신한 측은 조만간 중국본토RQFII채권형·혼합형 펀드를 내놓을 예정이다.
미래자산운용 동양자산운용 NH-CA자산운용 동부자산운용 하나대투증권 등도 라이선스를 취득하고 쿼터를 획득 중이다.
위안화 채권펀드 투자에서 고려해야 할 리스크도 있다. 채권펀드인 만큼 변수 1순위는 금리 변동 리스크다. 다만 중국이 최근 유동성 확대를 위해 대출 금리 인하 정책을 펴고 있고 상반기 중 추가 금리 인하 전망이 나오고 있어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이라는 평가다.
[김은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