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닷컴 MK스포츠 김세영 기자] 프로야구 10개 구단 모두의 문제겠지만, NC 다이노스 역시 체력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NC는 다가올 시즌, 늘어난 경기 수만큼 선발 투수들의 체력관리는 필수다.
KT위즈의 1군 합류로 10구단 체제가 된 ‘2015 프로야구는 팀마다 144경기를 치르게 된다. 유난히 길어질 페넌트레이스에서 체력은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특히 탄탄한 마운드를 원하는 NC는 선발투수들이 최대한 많은 이닝을 소화해줄수록 좋다.
NC는 지난 시즌 선발 투수들이 평균 5⅓이닝(롯데와 공동2위)을 소화했다. 이는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한 삼성 선발진(5⅔이닝·1위)에 못지않은 수치다. 그에 비한다면 경기당 평균 선발 투구수(90.3개·전체 2위)는 적었고, 퀄리티스타트(QS) 수(59개·전체 2위)는 많았다. 그만큼 매우 효율적으로 마운드를 운영했다.
그러나 평균 6이닝을 던진 선발 투수는 단 1명도 나오지 않았다. 지난 시즌 선발로 경기당 6이닝 이상을 소화한 투수는 총 9명으로 헨리 소사(LG), 더스틴 니퍼트(두산), 김광현(SK), 릭 밴덴헐크(전 삼성), 윤성환(삼성), 트래비스 밴와트(SK), 앤디 밴헤켄(넥센), 조조 레이예스(전 SK), 코리 리오단(전 LG)이 전부였다.
총 이닝수로 따져도 NC 선발진은 많이 던진 편이 아니다. 187이닝을 던진 넥센의 밴헤켄은 2014시즌 최다이닝 투수로 남았다. 롯데에서 KT로 적을 옮긴 크리스 옥스프링(184⅓)이 2위, 니퍼트(179⅓), 유희관(177⅓), 김광현(173⅔)이 그 뒤를 이었다. NC 선발 중 가장 많은 이닝을 던진 투수는 에릭 해커(172⅔)다. 그 다음은 찰리(165⅓)와 이재학(156) 순으로 많이 던졌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보면 NC가 선발급을 포함한 전체 투수들의 체력 안배를 골고루 잘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불펜진의 부담이 상당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NC의 막강 불펜들의 피로도를 줄이고 경기력을 유지하려면 선발투수들은 꾸준하게 6이닝 이상을 소화해 줄 수 있는 든든한 체력이 필요하다.
주요 선발투수들의 체력 증강과 더불어 각 팀들은 5선발, 많게는 6선발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 시즌은 이전보다 4, 5선발의 역할이 커진 만큼 안정적으로 5명의 선발 투수를 확보하는 팀이 경기운영을 더욱 수월하게 가져갈 것이다. NC는 오는 1월 15일부터 미국 애리조나에서 펼쳐지는 스프링캠프를 통해 그 가능성을 시험한다. 내부자원들을 최대한 활용해 선발투수(4, 5선발) 옥석가리기에 나선다.
NC는 기존 선발진이 평균 6이닝을 담당하고 새로 뽑힌 4, 5선발이 이에 버금가게만 받쳐준다면 2015시즌 마운드는 더 이상 바랄게 없다.
[ksyreport@maekyung.com]
KT위즈의 1군 합류로 10구단 체제가 된 ‘2015 프로야구는 팀마다 144경기를 치르게 된다. 유난히 길어질 페넌트레이스에서 체력은 주요 변수로 떠올랐다. 특히 탄탄한 마운드를 원하는 NC는 선발투수들이 최대한 많은 이닝을 소화해줄수록 좋다.
NC는 지난 시즌 선발 투수들이 평균 5⅓이닝(롯데와 공동2위)을 소화했다. 이는 가장 많은 이닝을 소화한 삼성 선발진(5⅔이닝·1위)에 못지않은 수치다. 그에 비한다면 경기당 평균 선발 투구수(90.3개·전체 2위)는 적었고, 퀄리티스타트(QS) 수(59개·전체 2위)는 많았다. 그만큼 매우 효율적으로 마운드를 운영했다.
그러나 평균 6이닝을 던진 선발 투수는 단 1명도 나오지 않았다. 지난 시즌 선발로 경기당 6이닝 이상을 소화한 투수는 총 9명으로 헨리 소사(LG), 더스틴 니퍼트(두산), 김광현(SK), 릭 밴덴헐크(전 삼성), 윤성환(삼성), 트래비스 밴와트(SK), 앤디 밴헤켄(넥센), 조조 레이예스(전 SK), 코리 리오단(전 LG)이 전부였다.
총 이닝수로 따져도 NC 선발진은 많이 던진 편이 아니다. 187이닝을 던진 넥센의 밴헤켄은 2014시즌 최다이닝 투수로 남았다. 롯데에서 KT로 적을 옮긴 크리스 옥스프링(184⅓)이 2위, 니퍼트(179⅓), 유희관(177⅓), 김광현(173⅔)이 그 뒤를 이었다. NC 선발 중 가장 많은 이닝을 던진 투수는 에릭 해커(172⅔)다. 그 다음은 찰리(165⅓)와 이재학(156) 순으로 많이 던졌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해보면 NC가 선발급을 포함한 전체 투수들의 체력 안배를 골고루 잘했다고 볼 수도 있지만, 불펜진의 부담이 상당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NC의 막강 불펜들의 피로도를 줄이고 경기력을 유지하려면 선발투수들은 꾸준하게 6이닝 이상을 소화해 줄 수 있는 든든한 체력이 필요하다.
주요 선발투수들의 체력 증강과 더불어 각 팀들은 5선발, 많게는 6선발까지도 고려하고 있는 상황이다. 올 시즌은 이전보다 4, 5선발의 역할이 커진 만큼 안정적으로 5명의 선발 투수를 확보하는 팀이 경기운영을 더욱 수월하게 가져갈 것이다. NC는 오는 1월 15일부터 미국 애리조나에서 펼쳐지는 스프링캠프를 통해 그 가능성을 시험한다. 내부자원들을 최대한 활용해 선발투수(4, 5선발) 옥석가리기에 나선다.
NC는 기존 선발진이 평균 6이닝을 담당하고 새로 뽑힌 4, 5선발이 이에 버금가게만 받쳐준다면 2015시즌 마운드는 더 이상 바랄게 없다.
[ksyreport@mae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