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부동산 정체에 가계 자산 증가도 주춤
입력 2014-12-29 14:39 

한국의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서 가계의 자산 증가세가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최근에는 기업의 연구개발(R&D)이 자산 규모를 키우는 데 일조하면서 경제성장의 주 동력으로 자리매김했다.
2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우리나라의 자본스톡 확정 추계에 따르면 지난 1995년부터 2012년까지 우리나라 전체의 비금융자산 규모는 연평균 8.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우리나라의 비금융자산은 명목 기준으로 1경770조4000억원까지 확대됐다.
이 가운데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순자산(6101조원)은 가구당 3억2823만원으로 추산됐다. 이를 구매력 평가환율(PPP·1달러당 860.25원)로 환산하면 38만2000달러로 미국 가구(63만달러)의 60.6%, 일본 가구(46만9000달러)의 81.4% 수준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가계의 자산 증가율은 전체 평균을 밑돌았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1995년 이후 비금융자산 증가율은 7.7%로 집계됐다. 증가율이 가장 높았던 비금융법인은 8.9%에 달했고 일반정부는 8.5%, 금융법인기업은 8.4%를 기록했다. 가계를 빼면 모두 8%대를 넘는 셈이다.

조태형 한은 대차대조표 팀장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과 GDP를 비교한 배율이 2007년 이후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며 "이들 순자본스톡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건물 및 토지자산의 증가세가 최근 들어 크게 둔화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가계자산 중 비금융자산의 비중이 66%이고 이 중 대부분이 부동산이라 부동산 가격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실제로 지난 2012년 우리나라 토지자산의 GDP대비 배율(4.1배)은 지난 1995년(3.9배)보다 0.2배 높아지는 데 그쳤다. 지난 2001년에는 3.1배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 무렵 가계의 자산도 GDP보다 2.7배가량 더 많은 수준에 머물렀다.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시작된 2008년 이후로 시작된 부동산 시장 침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토지가 자산 증가에 기여하는 바가 줄어들고 노동투입 증가도 한계를 보이면서 최근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은 지식재산생산물(IPPs)이 이끈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5년부터 IPPs는 연구개발(R&D)을 중심으로 6.5배 증가했다. 2008년 이후에는 이 부문의 IPPs가 자본서비스물량증가율의 23%를 차지하기도 했다.
조 팀장은 "경제가 성숙단계로 접어들면 성장률과 자본서비스물량증가율이 비슷하게 나올 것으로 예상한다”며 "건설 및 설비자산의 자본투입 기여도가 낮아지는 상황에서 R&D 등 지식재산생산물이 자본투입 측면에서 성장의 새로운 견인차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고 전했다.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