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북한의 참혹한 인권 상황이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테이블에 올랐습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여전히 거부 의사를 밝혀 결의까지 어렵지만,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김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북한 인권결의안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정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인권과 관련한 이슈가 유엔 총회를 통과해 안보리에서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안보리 이사국 전체 15곳 중 한국과 미국 등 모두 11곳이 찬성표를 던졌고, 차드와 나이지리아는 기권, 중국과 러시아는 다시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재판정에 서는 모습을 보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이번 안이 결의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의 인권 문제가 추가로 드러나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예방주사' 역할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의 과정에서도 상임이사국 5곳이 모두 동의해야 하는데, 중국과 러시아가 여전히 거부의 뜻을 밝히고 있어 난항이 예상됩니다.
▶ 인터뷰 : 류제이 / 유엔 중국대사
- "안보리는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화를 조성하고 긴장을 완화하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북한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는 점에서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안건 채택으로 3년 동안 이사국들은 필요할 때마다 북한 인권 회의를 열고 논의할 수 있습니다.
MBN뉴스 김민혁입니다.
영상편집 : 이재형
북한의 참혹한 인권 상황이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테이블에 올랐습니다.
중국과 러시아가 여전히 거부 의사를 밝혀 결의까지 어렵지만, 북한 인권에 대한 국제사회의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입니다.
김민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북한 인권결의안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정식 안건으로 채택됐습니다.
인권과 관련한 이슈가 유엔 총회를 통과해 안보리에서 채택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안보리 이사국 전체 15곳 중 한국과 미국 등 모두 11곳이 찬성표를 던졌고, 차드와 나이지리아는 기권, 중국과 러시아는 다시 반대표를 던졌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이 재판정에 서는 모습을 보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
이번 안이 결의까지 이어지기 위해서는 북한의 인권 문제가 추가로 드러나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예방주사' 역할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의 과정에서도 상임이사국 5곳이 모두 동의해야 하는데, 중국과 러시아가 여전히 거부의 뜻을 밝히고 있어 난항이 예상됩니다.
▶ 인터뷰 : 류제이 / 유엔 중국대사
- "안보리는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예방하기 위해, 대화를 조성하고 긴장을 완화하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하지만, 북한을 지속적으로 압박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는 점에서는 큰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안건 채택으로 3년 동안 이사국들은 필요할 때마다 북한 인권 회의를 열고 논의할 수 있습니다.
MBN뉴스 김민혁입니다.
영상편집 :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