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양천구 목동과 신정동 일대 부동산 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양천구청이 최근 목동 신시가지아파트 1~14단지 지구단위계획 재정비 추진 시기와 수립 방향을 묻는 전 주민 설문조사에 들어가 이르면 내년 초 그 결과를 공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2만6000여 가구에 이르는 목동아파트 재정비 계획 수립이 본격화하면 서울 전체 부동산 시장에 적잖은 파장이 예상돼 설문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3일 양천구청 관계자는 지난 11일부터 목동 1~14단지 2만6000여 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재건축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르면 내년 2월께 설문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목동 1~14단지는 지난 ‘9·1 부동산 대책에 따른 재건축 연한 단축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내년 4월부터 8~10단지와 13~14단지는 2년 단축돼 2017년부터, 11~12단지는 4년 단축돼 2018년부터 각각 재건축이 가능하다.
설문지는 크게 12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우선 양천구는 주민이 재건축과 리모델링, 현상 유지 중 어떤 방식을 선호하는지 선택하도록 했다. 이와 관련해 양천구는 2010년 ‘목동아파트 마스터플랜에서 조합원 자금 부담 감소에 의한 조속한 사업 실현성 확보가 가능한 재건축 방식이 (리모델링보다) 적절하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마스터플랜은 수평증축 리모델링만 고려한 것”이라며 수직증축 리모델링은 일반분양이 나오기 때문에 조합원 추가분담금을 낮출 수 있어 주민이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면 시기 도래 시 바로 하는 게 좋은지, 주택 경기를 봐가면서 하는 게 좋은지 선택하라는 문항도 있다. 정부나 서울시 정책에 따른 시기 조정을 수용할 의사가 있는지도 묻고 있다. 양천구는 주민이 재건축 후 원하는 주택 규모와 재건축 기간에 임시로 이주할 지역도 꼽도록 했다. 2단지에 거주하고 있는 한 주민은 대부분 강서구나 영등포구로 이주할 것으로 보인다”며 단지별로 이주 시기를 조정하지 않으면 이 일대 전세금이 폭등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구청 설문이 시작되면서 주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집주인들은 대체로 리모델링보다 재건축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60~7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세입자들은 대부분 현상 유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데 세입자를 설문 대상에 포함하고 실거주하지 않는 집주인을 제외한 것을 두고도 말이 많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23일 양천구청 관계자는 지난 11일부터 목동 1~14단지 2만6000여 가구 전체를 대상으로 재건축과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르면 내년 2월께 설문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목동 1~14단지는 지난 ‘9·1 부동산 대책에 따른 재건축 연한 단축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내년 4월부터 8~10단지와 13~14단지는 2년 단축돼 2017년부터, 11~12단지는 4년 단축돼 2018년부터 각각 재건축이 가능하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마스터플랜은 수평증축 리모델링만 고려한 것”이라며 수직증축 리모델링은 일반분양이 나오기 때문에 조합원 추가분담금을 낮출 수 있어 주민이 어떤 선택을 할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재건축이나 리모델링이 필요하다면 시기 도래 시 바로 하는 게 좋은지, 주택 경기를 봐가면서 하는 게 좋은지 선택하라는 문항도 있다. 정부나 서울시 정책에 따른 시기 조정을 수용할 의사가 있는지도 묻고 있다. 양천구는 주민이 재건축 후 원하는 주택 규모와 재건축 기간에 임시로 이주할 지역도 꼽도록 했다. 2단지에 거주하고 있는 한 주민은 대부분 강서구나 영등포구로 이주할 것으로 보인다”며 단지별로 이주 시기를 조정하지 않으면 이 일대 전세금이 폭등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구청 설문이 시작되면서 주민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집주인들은 대체로 리모델링보다 재건축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60~7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세입자들은 대부분 현상 유지를 원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정비계획을 수립하는 데 세입자를 설문 대상에 포함하고 실거주하지 않는 집주인을 제외한 것을 두고도 말이 많다.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