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E산업을 대전의 미래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최대 숙원사업인 다목적전시장 건립에 청신호가 켜졌다.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결과 사업비 1830억원 규모의 대전컨벤션센터(DCC) 다목적전시장 건립계획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이로 인해 내년 6월까지 KDI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국비지원 여부가 최종 결정될 전망인데 행정자치부 투융자심사를 거쳐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면 2016년 실시설계가 이루어지고 2017년에 착공을 통해 2019년 준공될 예정이다.
예타 대상 선정이유는 기존 대전무역전시관의 건물노후도, 중부권의 열악한 전시공간, 향후 중부권의 전시수요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감안해 다목적전시장 건립의 시급성이 인정됐기 때문이다.
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된 다목적전시장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국비 600억원을 포함한 시비, 민자 등 총사업비 1830억원을 투입해 대전엑스포과학공원 내 현재 무역전시관 부지인 29,195㎡(건축연면적 83,000㎡)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주요시설은 12,500㎡의 전시공간과 부대시설(27,500㎡), 주차장(43,000㎡)으로 구성된다. 전시공간 규모는 축구장 약 2배 크기에, 기존 대전무역전시관(4200㎡) 보다도 3배에 달한다.
전시장은 기둥 없이 설계하는 무주공법 등의 첨단 건축기법을 적용하는 한편, 가동율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공연이나 이벤트도 가능한 음향장비 등의 시설을 갖추는 등 다목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2년 대전시가 실시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자료에는 오는 2026년 기준으로 9839명의 고용효과와 8382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다고 기록돼 있다.
그동안 대전무역전시관은 경기 킨텍스(108,483㎡), 부산 백스코(46,458㎡), 서울 코엑스(36,007㎡)에 비해 규모나 시설면에서 매우 열악할 뿐만 아니라 도시규모나 중부권 전시수요에 비해 전시공간이 턱없이 부족해 대규모 국·내외 행사 유치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또 다목적전시장이 건립되면 첨단과학도시이자 창조경제 거점도시로서 과학, 로봇, 국방 등 차별화 되고 특화된 전시회 유치는 물론 2020세계미생물연합총회 등 예정된 대형국제행사 개최가 가능하고, DCC와 연계하여 국제 전시컨벤션의 중심도시로 탈바꿈될 것으로 기대했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대전시에 따르면 지난 28일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 결과 사업비 1830억원 규모의 대전컨벤션센터(DCC) 다목적전시장 건립계획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사업에 선정됐다.
이로 인해 내년 6월까지 KDI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국비지원 여부가 최종 결정될 전망인데 행정자치부 투융자심사를 거쳐 중기지방재정계획에 반영되면 2016년 실시설계가 이루어지고 2017년에 착공을 통해 2019년 준공될 예정이다.
예타 대상 선정이유는 기존 대전무역전시관의 건물노후도, 중부권의 열악한 전시공간, 향후 중부권의 전시수요 등 여러 가지 요인을 감안해 다목적전시장 건립의 시급성이 인정됐기 때문이다.
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된 다목적전시장은 2016년부터 2019년까지 국비 600억원을 포함한 시비, 민자 등 총사업비 1830억원을 투입해 대전엑스포과학공원 내 현재 무역전시관 부지인 29,195㎡(건축연면적 83,000㎡)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주요시설은 12,500㎡의 전시공간과 부대시설(27,500㎡), 주차장(43,000㎡)으로 구성된다. 전시공간 규모는 축구장 약 2배 크기에, 기존 대전무역전시관(4200㎡) 보다도 3배에 달한다.
전시장은 기둥 없이 설계하는 무주공법 등의 첨단 건축기법을 적용하는 한편, 가동율을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 공연이나 이벤트도 가능한 음향장비 등의 시설을 갖추는 등 다목적 활용이 가능하도록 설계될 예정이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12년 대전시가 실시한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자료에는 오는 2026년 기준으로 9839명의 고용효과와 8382억원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있다고 기록돼 있다.
그동안 대전무역전시관은 경기 킨텍스(108,483㎡), 부산 백스코(46,458㎡), 서울 코엑스(36,007㎡)에 비해 규모나 시설면에서 매우 열악할 뿐만 아니라 도시규모나 중부권 전시수요에 비해 전시공간이 턱없이 부족해 대규모 국·내외 행사 유치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게 대전시의 설명이다.
또 다목적전시장이 건립되면 첨단과학도시이자 창조경제 거점도시로서 과학, 로봇, 국방 등 차별화 되고 특화된 전시회 유치는 물론 2020세계미생물연합총회 등 예정된 대형국제행사 개최가 가능하고, DCC와 연계하여 국제 전시컨벤션의 중심도시로 탈바꿈될 것으로 기대했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