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11월 19일(06:01)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레이더M 기사 더보기>>>
국내 2위 유통업체 홈플러스 매각설이 계속되면서 사모투자펀드(PEF)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올해 들어 인수·합병(M&A) 시장에 조단위 대형 매물이 드물었던 터라, 홈플러스 매각이 현실화할 경우 손에 쥐고만 있던 투자약정금을 일거에 집행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 때문이다. 향후 경영권을 매각하는 대형 우량 매물이 언제 등장할 지 모른다는 불확실성도 PEF들이 홈플러스의 매물 등장을 손꼽아 기다리는 이유로 작용한다.
19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PEF 출자약정액은 지난 10월 말 현재 48조8075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4조8000억여원 증가했다. 하지만 실제 딜이 성사돼 집행된 자금 규모는 이 같은 약정액 증가폭을 따라가지 못할 것이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어느정도 규모를 갖춘 PEF들은 홈플러스 매각 여부에 관심이 높은 상황"이라며 "이정도 우량한 대형 매물이 등장하기 쉽지 않은 만큼 매각이 현실화할 경우 엄청난 경쟁이 벌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수합병 시장에선 홈플러스가 매물로 등장할 경우 가격이 최대 7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홈플러스의 지난해 감가상각 전 영업현금흐름(EBITDA)은 8000억여원 수준으로, 여기에 EV/EBITDA 배수를 6~7배로 적용하면, 대략 5조원 대에서 적정 가치가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인수후보간 치열한 인수전이 펼쳐지면서 가격이 6조원을 넘어 7조원까지도 이를 수 있다는 계산이다.
만약 홈플러스가 매물로 나올 경우 우선 국내 PEF 업계 선두주자인 MBK파트너스의 인수전 참여가 확실해 보인다. MBK는 작년 말 26억7000만달러(약 3조원) 규모의 제3호 블라인드펀드 펀드 결성을 완료하면서 자금 여력이 상당한 상황이다.
실제 MBK는 작년 말 ING생명 한국법인 인수한 뒤, 1년여 동안 신규 M&A에 나선 적이 없다. ING생명 전체 인수대금 1조8500억원 중 제3호 블라인드 펀드에서 출자된 자금은 5000억원 규모로, 2조원이 넘는 자금 여력이 남아 있다. 따라서 홈플러스 딜에 참여할 경우 조 단위 자금을 집행하며 투자자(LP)들의 압박에서도 숨을 돌릴 수 있다.
작년 말 6300억원 규모 블라인드펀드를 결성한 H&Q의 움직임도 주목된다. H&Q는 펀드 결성 이후 약 1000억원의 자금을 집행한 터라 5000억원이 넘는 여력이 있다. 지난 7월 4700억원 규모 블라인드펀드 결성에 성공한 스틱인베스트먼트도 투자처 발굴이 한창이었던 터라 홈플러스 매각설이 반가운 상황이다.
한앤컴퍼니, IMM PE 등의 경우 2~3년 만에 블라인드 펀드 모집을 진행하거나 진행할 예정이어서 홈플러스가 매물로 등장할 경우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 펀드는 1조원 규모 펀드 결성을 목표로 투자자 모집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차입없이 당장 조(兆) 단위 인수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MBK와 달리 여타 국내 PEF의 경우 현대백화점, 신세계, 롯데 등 홈플러스를 노리는 전략적투자자(SI)와 함께 손잡고 재무적투자자(FI)로 참여하는 방안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임유철 H&Q 대표는 "홈플러스 매물 출회 가능성에 PEF들이 관심을 갖는 것은 맞지만, 신중할 필요는 있다"며 "대형마트의 향후 성장성에 대한 꼼꼼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