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재무학회 추계학술대회 “CFO, 오너 금고지기 탈피해야”
입력 2014-11-16 17:13  | 수정 2014-11-17 11:02
앞으로 재무담당 최고책임자(CFO) 업무는 단순한 숫자 관리가 아니라 기업 가치를 한 단계 도약시키는 일이 될 것이다.”
지난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열린 한국재무학회(학회장 연강흠 연세대 교수) 추계학술대회 특별심포지엄에서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이같이 말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김옥진 GE코리아 전무는 CFO가 단순히 현금 흐름을 관리하는 위치에서 변화 관리, CEO 경영 파트너 등으로 그 임무가 확장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참석자들은 CFO가 ‘오너의 금고지기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게 한국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임우돈 CFO협회 사무총장은 한국 CFO가 건설적인 역할을 못하고 있는 건 규제 환경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IFRS 회계기준 도입, 통상임금 문제, 순환 출자구조 해소 등 당장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다 보니 CFO들이 기업 가치 제고 방안에는 손도 못 대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근 확산되는 주주행동주의에 대한 발상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주주행동주의란 주주들이 기업 내 의사 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이익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을 말한다. 임병일 크레디트스위스 서울 지점장은 주주행동주의 전략을 쓰는 헤지펀드가 경영권에 개입하기 시작하면 기업들은 이를 방어하는 데 막대한 비용이 드는 만큼 CFO는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적으로 주주 이익 보호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오세경 건국대 경영대 교수는 미국 캘퍼스(캘리포니아주 공무원 퇴직연금)는 100억달러를 주주행동주의 펀드에 투자하는 등 주주행동주의를 차별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국내 연기금은 여전히 채권 투자 일변도”라고 지적했다. 이번 행사는 한국재무학회가 주최하고 매일경제신문사 금융투자협회 등 후원으로 열렸다.
[용환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