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당국과 통화당국이 경기 모멘텀을 회복시키기 위해서 조치를 취했지만 이것이 제대로 나타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개선노력이 제대로 병행돼야 합니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는 13일 오전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 후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지난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효과와 관련, "현재 여수신 경로를 포함한 금리정책의 파급경로는 비교적 원활히 작동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성장·소득 간 선순환 강화를 위해 가계·기업 간 소득 불균형을 완화하고 가계부채의 구조개선을 도모하는 한편, 서비스업 규제완화, 신성장 동력산업 육성 등 사회 곳곳의 구조적인 문제에 대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 총재는 지난달 가계대출이 급증한 것과 관련 향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가팔라질 것이란 지적에 "우리나라 인구구조변화 등을 감안해 볼 때 주택가격 상승 기대감이 크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가계대출 급증 현상은 오래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향후 기준금리 추가인하 가능성과 관련해선 "금리정책은 성장, 물가 등 거시경제 상황과 금융안정 리스크를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며 "방향은 미리 예단할 수 없고, 가계부채도 많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금융안정 리스크에 대해서는 계속 유의 하겠다"고 원론적인 입장을 밝혔다.
엔저에 따른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약화 우려에 대해 이 총재는 "8월 들어서 엔화약세가 지속돼 그것이 미칠 영향을 지켜보고 있었다"며 "지금까지는 수출이 비교적 전체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여 왔지만, 엔화약세가 보다 심화되거나 가속화된다면 우려할 상황이 있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일본기업이 엔저에 따른 개선된 수익성을 바탕으로 단가인하 등 가격경쟁을 벌이면 국내 기업에 피해가 돌아갈 것이란 설명이다.
이 총재는 또 마이너스 GDP갭 해소 시점과 관련해선 "성장전망에 기인해보면 마이너스 GDP갭은 점차 축소돼, 내년 하반기에는 해소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고 내다봤다. GDP갭은 잠재GDP와 실질GDP의 차이를 말한다. GDP갭률이 마이너스라는 것은 현재 경제가 잠재치 만큼 성장하지 못한다는 의미다. 반대로 갭이 축소돼 해소되면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에 들어선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경기상황을 고려해 '기준금리 조정 폭을 현재의 25bp에서 20bp로 조정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는 "(금리조정 폭을) 25bp로 유지한 것은 금리인하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정도는 이쯤 되지 않아야겠냐는 판단이 작용했다"며 "균형점을 찾은 게 25bp"라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어 "현재 2.0%의 기준금리에 한해서도 (금리조정 폭은) 25bp가 적당하다고 본다"며 "20bp, 10bp로 조정하게 되면 이것은 또 하나의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소비자물가상승률이 한은이 제시한 목표치(2.5%~3.5%)를 크게 밑돌고 있는데 대해선 "사실상 물가목표를 지키지 못하는 사례는 변명이 아니라 글로벌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한은 금통위는 11월 기준금리를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현 수준인 연 2.0%로 유지, 통화정책을 운용키로 했다. 한은은 지난 8월과 10월 기준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인하한 바 있다.
[매경닷컴 전종헌 기자 / 정인혜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