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12일 지난 5월 지정된 13곳의 도시재생선도지역 중 1차로 부산시(경제기반형)·서울시·창원시·영주시(근린재생형) 4곳에 대해 총 5529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승인했다. 사업 규모는 부산시가 2952억원으로 가장 크고, 창원시는 1765억원, 서울시 종로구는 459억원, 영주시 353억원이다.
국토부는 2017년까지 4년간 이들 4개 지역에 1100억원(지방비 50%)을 지원하고, 문화부·중기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25개 사업에 2215억원을 협업을 통해 함께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의 활용, 건축규제완화 및 행정적 지원 등을 통해 총 14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도 차질없이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역별로 우선 부산은 부산역-부산항 일원이 부산항 기능 이전 등으로 공동화되는 것을 다시 정비하고 경제기반을 재구축한다. 북항 재개발, 부산역 철도시설 재배치 등 대규모 사업과 연계해 부산역 일원에 ICT, 관광, 영상 등 새로운 산업 기능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의 차이나타운, 산복도로 마을 등을 활용한 도시관광 사업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북항과 부산역·원도심을 연결하는 창조지식플랫폼을 건립하고, 미래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입주시켜 새로운 경제기반을 구축하는 중심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 종로구 창신동·숭인동 지역은 봉제산업의 침체와 8년간의 뉴타운 사업 지연에 따른 갈등과 주거환경이 악화된 지역을 주민커뮤니티 중심으로 다시 회복시키는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인근의 동대문 패션상가 등과 연계해 기존 봉제산업을 특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폐·공가를 창신·숭인동의 청년 디자이너들의 의류상품 제작 등 봉제 작업공간으로 제공하고, 패션상가와 안정적인 판로 구축을 통한 유통 플랫폼 조성을 추진한다.
또한 유네스코 유산 등록을 추진중인 한양 성곽을 활용한 마을관광자원 개발,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사업과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1980년대 전국 7대 도시였던 창원은 공공청사의 이전 및 마산항 기능축소 등으로 인구감소(60만명→ 40만명) 및 쇠퇴가 심화된 상태다.
이번 선도지역 사업은 이은상, 문신 등 지역 예술가 등이 활동했던 구도심의 역사성을 살려 기존 골목길을 살린 창동예술촌·창작공예촌을 활성화하고, 마산항 임항선 폐선로를 활용한 공원 조성과 마산항 워터프론트 조성 등을 연계해 추진한다.
중앙선과 영동선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요지인 영주시는 1973년 영주역이 이전되면서 원도심(영주 1․2동 일원)의 빈점포 증가 및 인구 감소 등 쇠퇴가 심화됐다.
일제 강점기 및 1950년대 근대 한옥건물 등이 남아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의 경관개선 및 리모델링을 통해 외부 관광수요 등을 유치하고, 고령화된 주민의 소득창출을 위한 생활공예 등을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 육성 사업이 함께 추진된다.
국토부는 올해 지정한 13곳의 선도지역 중 나머지 9곳(천안, 청주, 공주, 군산, 순천, 목포, 광주동구, 대구남구, 태백)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활성화계획을 승인하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지원하고 성과를 도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압축성장기에는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양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매경닷컴 이미연 기자]
국토부는 2017년까지 4년간 이들 4개 지역에 1100억원(지방비 50%)을 지원하고, 문화부·중기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25개 사업에 2215억원을 협업을 통해 함께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의 활용, 건축규제완화 및 행정적 지원 등을 통해 총 14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도 차질없이 지원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지역별로 우선 부산은 부산역-부산항 일원이 부산항 기능 이전 등으로 공동화되는 것을 다시 정비하고 경제기반을 재구축한다. 북항 재개발, 부산역 철도시설 재배치 등 대규모 사업과 연계해 부산역 일원에 ICT, 관광, 영상 등 새로운 산업 기능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의 차이나타운, 산복도로 마을 등을 활용한 도시관광 사업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북항과 부산역·원도심을 연결하는 창조지식플랫폼을 건립하고, 미래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입주시켜 새로운 경제기반을 구축하는 중심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 종로구 창신동·숭인동 지역은 봉제산업의 침체와 8년간의 뉴타운 사업 지연에 따른 갈등과 주거환경이 악화된 지역을 주민커뮤니티 중심으로 다시 회복시키는 사업이 추진된다.
주요 사업으로는 인근의 동대문 패션상가 등과 연계해 기존 봉제산업을 특화하기 위한 사업으로 폐·공가를 창신·숭인동의 청년 디자이너들의 의류상품 제작 등 봉제 작업공간으로 제공하고, 패션상가와 안정적인 판로 구축을 통한 유통 플랫폼 조성을 추진한다.
또한 유네스코 유산 등록을 추진중인 한양 성곽을 활용한 마을관광자원 개발, 낙후된 주거환경 개선사업과 주민공동체 활성화 사업 등을 추진한다.
1980년대 전국 7대 도시였던 창원은 공공청사의 이전 및 마산항 기능축소 등으로 인구감소(60만명→ 40만명) 및 쇠퇴가 심화된 상태다.
이번 선도지역 사업은 이은상, 문신 등 지역 예술가 등이 활동했던 구도심의 역사성을 살려 기존 골목길을 살린 창동예술촌·창작공예촌을 활성화하고, 마산항 임항선 폐선로를 활용한 공원 조성과 마산항 워터프론트 조성 등을 연계해 추진한다.
중앙선과 영동선 철도가 교차하는 교통요지인 영주시는 1973년 영주역이 이전되면서 원도심(영주 1․2동 일원)의 빈점포 증가 및 인구 감소 등 쇠퇴가 심화됐다.
일제 강점기 및 1950년대 근대 한옥건물 등이 남아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의 경관개선 및 리모델링을 통해 외부 관광수요 등을 유치하고, 고령화된 주민의 소득창출을 위한 생활공예 등을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 육성 사업이 함께 추진된다.
국토부는 올해 지정한 13곳의 선도지역 중 나머지 9곳(천안, 청주, 공주, 군산, 순천, 목포, 광주동구, 대구남구, 태백)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활성화계획을 승인하고, 지속적으로 사업을 지원하고 성과를 도출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압축성장기에는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다양한 도시재생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매경닷컴 이미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