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30일 양적완화(QE·자산매입) 종료를 선언했지만, 한국 경제가 받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문
가들은 내다봤다.
이번 양적완화 종료는 그동안 단계적인 테이퍼링(tapering·자산매입 축소) 프로그램에 따라 충분한 시간을 두고 이뤄진 만큼 시장에 주는 충격이 제한적이라는 점에서다.
미국이 비록 QE를 종료하더라도 '상당기간'(for a considerable time) 제로 수준의 초저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밝힌 만큼 금융시장이 가장 우려하는 급격한 자본 유출이 일어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도 꼽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거시경제연구부장은 "연준의 이번 결정은 시장에서 예상했던 대로"라며 "예상대로 결정이 나온 만큼 한국 경제에도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조 부장은 "다른 신흥시장국 중 자국 경제의 기반이 취약한 곳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면서도 "한국은 이런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부문장도 "예상됐던 일이어서 커다란 변화가 있을 것 같지 않다"면서 "또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라는 단서를 달아 충격이 작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이 자국의 경기뿐 아니라 서로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세계 경기의 흐름을 면밀히 관찰해 행동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앞으로도 크게 걱정할 상황은 전개되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이부형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원은 연준이 '상당기간 초저금리 유지'를 언급한 배경을 두고 "신흥 시장에서 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위험을 방지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며 "유럽, 중국, 일본 등 주요국의 경기 회복이 부진한 점도 염두에 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상당기간 제로 상태로 유지될 미국의 금리가 언제쯤 인상될지는 섣불리 예단할 수 없다. 다만, 미국 내 경기 상황만 놓고 판단하면일러야 내년 하반기가 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연준이 고용과 물가 등을 보고 금리 인상 시점을 판단하겠다고 했는데, 현재 미국의 고용 상황이 워낙 안 좋아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려면 1000만명의 고용이 더 늘어야 한다"며 "이런 점을 고려하면 금리 인상은 내년하반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게다가 연준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이는 미국 경제의 본격적인 회복 국면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반드시 '악재'로 받아들일 일은 아니라는 견해도 있다.
조동철 부장은 "금리 인상 시점을 정확히 짚을 수는 없지만, 미국이 예상보다 금리를 일찍 올린다면 미국 경제 회복이 빠르다는 신호로도 받아들일 수 있어 한국에 긍정적인 쪽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