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급성 편도염, 감기인 줄 알고 놔뒀다간 수술까지…예방법은 뭐?
입력 2014-10-17 16:31 
급성 편도염/ 사진=MBN
급성 편도염, 감기인 줄 알고 놔뒀다간 수술까지…예방법은 뭐?

'급성 편도염'

환절기를 맞아 감기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목이 아프고 고열이 나며 몸살기가 동반되면 급성 편도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염으로 한 해 병원을 찾는 환자는 828만명(2011년 기준)으로 국민 6명 중 1명꼴입니다. 편도염은 일교차가 심하거나 추운 계절에 잘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목이 아프면서 열이 나는 질환 중에 가장 많은 경우는 흔히 목감기라고 말하는 급성 편도염과 급성 인두염입니다.

급성 편도염은 주된 염증이 편도에 생기는 경우를 말하고, 급성 인두염은 편도 주변의 목 안 부분에 주로 염증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나 급성 편도염과 급성 인두염은 함께 오는 때가 많습니다. 편도염 환자 중 90%가 급성 편도염 환자입니다.


이자현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급성 편도염은 목 안의 염증이 심해지면 침을 삼킬 때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넘어갈 때도 통증이 악화돼 식사를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며 "편도선 염증으로 인해 39~40도의 고열과 두통, 팔다리 전신에 걸친 통증이 발생하고 경부의 임파선 종대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만성 편도염은 목 안의 이물감이나 코골이 외에 크게 불편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단 편도염에 걸리면 음식을 삼킬 때 목이 아프고 특히 침을 삼킬 때 몹시 아픕니다. 심하면 귀가 찌르는 것과 같은 연관통이 동반됩니다. 이때 목을 들여다보면 보통 때의 편도에 비해서 빨갛게 부어 있으며 편도 표면에 흰 점이 군데군데 보이게 됩니다. 전신 증상으로는 38~40도까지 이르는 고열이 특징이며, 기침과 가래를 동반하는 사례도 흔합니다. 어른은 두통과 팔다리가 쑤시는 전신 증상도 나타납니다.

급성 편도염은 합병증이 일어나지 않으면 대부분 4~6일 정도 지속된 후 좋아집니다. 그러나 염증이 주위 조직으로 확대되면 편도 주변이나 목 부위에 고름이 생기는 편도 주위 농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편도 주위를 절개해 고름을 빼내야 합니다. 또한 급성 후두 기관지염, 급성 중이염, 급성 비염, 급성 부비동염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게다가 드물게는 멀리 떨어진 장기에도 염증을 일으켜 세균성 심내막염, 급성 화농성 관절염, 급성 신염, 패혈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천병준 서울성모병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급성편도염을 일반적인 감기로 알고 약국에서 감기약만 지어 먹다가는 병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며 "고열과 함께 근육통과 전신권태가 심하고 음식을 먹을 때 통증이 느껴지면 즉시 이비인후과를 찾는 것이 좋다"고 조언합니다.

급성 편도염을 치료하려면 우선 안정을 취하고, 열이 나면 물을 많이 마시며 부드러운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대개 해열제, 기침약, 가래를 묽게 하는 약 등의 약물 치료를 하게 되며, 세균감염에 의한 편도염이 의심되면 항생제도 함께 사용합니다.

의사 처방에 따라 3~4일간 치료하면 대개 경과가 좋아집니다. 만약 1년에 4~5회 이상 편도염이 자주 재발하는 만성 편도염이거나 1년에 1~2회 입원치료가 필요할 정도로 매우 심할 때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봐야 합니다.

또한 편도염이 신장이나 심장 등 다른 장기에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켜 수명을 단축시킬 위험이 있을 때도 수술적 치료가 요구됩니다.

편도염을 예방하려면 입부터 목에 이르는 상기도가 감염되지 않도록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환절기일수록 손발을 깨끗이 씻어서 접촉을 통한 균 감염을 줄입니다.

사람이 많이 모이는 사무실이나 교실에서는 환기를 자주 시켜 공기로 인한 감염균의 전파를 줄여야 합니다.

특히 평소 만성 편도염, 편도 비대가 있는 사람들은 과로나 과음을 줄이도록 하며 편도염이 잘 발생하는 환절기에 지나치게 피로해지지 않도록 건강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편도염 증상이 발생하면 초기에 병원을 찾아 악화되기 전에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급성 편도염' '급성 편도염'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