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윤 금융위원장이 "KB 사태에서 경험했듯이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경쟁력,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서는 최고경영자(CEO) 리스크의 안정적 관리와 함께 사외이사와 이사회 등이 제도의 본래 취지대로 작동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 위원장은 14일 한국경제연구원과 아시아금융학회가 전경련회관에서 공동 주최한 'KB금융 사태로 본 위기의 한국 금융'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신 위원장은 "우리의 지배구조 제도 외형과 모양새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근접했지만 형식적 운용으로 인해 주주와 시장, 감독당국 기대수준에는 아직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금융회사가 스스로 안정적으로 경영을 하고 어떠한 위기와 어려움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 맞는 '치밀하고 촘촘하게 규정'된 튼튼한 지배구조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받는다든지 선진국의 모범 사례를 벤치마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정부 차원에서는 금융사 지배구조에 직접 관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신 위원장은 "지배구조 문제는 딱 떨어지는 정답이 없기 때문에 정부는 '최소한의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 위원장은 14일 한국경제연구원과 아시아금융학회가 전경련회관에서 공동 주최한 'KB금융 사태로 본 위기의 한국 금융'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밝혔다.
신 위원장은 "우리의 지배구조 제도 외형과 모양새는 글로벌 스탠더드에 근접했지만 형식적 운용으로 인해 주주와 시장, 감독당국 기대수준에는 아직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그는 "금융회사가 스스로 안정적으로 경영을 하고 어떠한 위기와 어려움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 맞는 '치밀하고 촘촘하게 규정'된 튼튼한 지배구조를 만들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 "필요하다면 외부 전문기관의 컨설팅을 받는다든지 선진국의 모범 사례를 벤치마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정부 차원에서는 금융사 지배구조에 직접 관여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신 위원장은 "지배구조 문제는 딱 떨어지는 정답이 없기 때문에 정부는 '최소한의 기준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강계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