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서초동의 한 아파트에서 4년 동안 전세를 살던 직장인 최 모씨(43)는 살던 집이 재건축에 들어가면서 철거가 예정되자 새 전셋집을 알아보고 있다. 마음씨 좋은 집주인을 만나 4년 동안 전세금을 거의 올리지 않고 살았던 최씨는 껑충 뛰어버린 전세금에 깜짝 놀랐다. 최씨는 갖고 있는 전세금 3억8000만원에 맞춰 용인 수지로 이사가기로 했다. 최씨는 "인근에서 같은 면적의 아파트 전세를 구하려면 최소 1억7000만원이 더 필요하다"며 " '전세난민'은 남의 일이라고 생각했는데 결국 이렇게 됐다"고 말했다.
올해 하반기 서초구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강남4구'에서 잇따라 재건축 이주수요가 발생하면서 전셋집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전세금도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재건축 이주에 밀린 세입자들은 서울 시내에서 상대적으로 전세금이 싼 금천ㆍ구로구 등으로 옮겨가거나 아예 용인, 파주, 부평 등 서울 밖으로 밀려나는 '전세난민' 신세가 되고 있다.
재건축 이주뿐만 아니라 저금리 심화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하고, 서울ㆍ수도권의 입주물량이 예년보다 부족한 것도 가을 전세난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강남4구 재건축 이주수요는 올해 하반기 3355가구를 시작으로 내년 8114가구, 2016년 이후 1만4674가구에 달한다. 강남4구에서만 2만6000가구가 넘는 새로운 전세 수요자가 생긴다는 얘기다.
특히 은행금리가 낮아 전세금을 받아도 돈 굴릴 때가 마땅치 않은 집주인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추세여서 전셋집 구하기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강남4구에서 집을 구하지 못하면 서울 내 다른 지역으로, 여기서도 못 구하면 아예 수도권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강남4구발 전세난은 강남권만의 문제가 아니다. 실제 강남4구에서 '전세난민'들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금천, 구로, 도봉 등 외곽 지역의 전세금은 최근 1년 새 10% 이상 급등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강남4구 세입자들이 성동ㆍ광진ㆍ동작 등 인접지역으로 이사가고, 이곳에 살던 사람들은 금천, 구로 등 변두리로 더 밀려나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남4구발 전세난 염려가 커지자 24일 서울시는 재건축 이주시기 분산, 모니터링 강화 등 전세난 대응책을 마련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올해는 문제가 없지만 예정대로 재건축이 추진되면 내년부터는 공급량보다 이주ㆍ멸실량이 많아 전ㆍ월세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시에 따르면 개포지구와 고덕지구는 세입자 비중이 각각 85%와 64%로 높고 평균 전세금 수준도 1억~1억3000만원 수준으로 낮아 이주 시기가 집중될 경우 인근 다가구ㆍ다세대 주택 전세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는 하남, 남양주 등으로 이주하는 '전세난민'이 될 것이라는 우려도 높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조례를 개정해 2000가구 이하 단지라도 인접한 다른 정비구역과 이주 기간이 겹칠 경우 시기 분산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또 500가구가 넘는 재건축 단지는 관리처분계획 신청 이전부터 조합과 자치구가 협의해 자율적으로 이주 시기를 분산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진 실장은 "조례가 개정되면 개포시영, 개포1ㆍ2단지 등도 심의 대상에 포함된다"며 "이주 시기 조정은 최대한 자율에 맡기고 불가피할 경우 서울시가 강제 조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고재만 기자 /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해 하반기 서초구를 시작으로 2016년까지 강남, 서초, 송파, 강동 등 '강남4구'에서 잇따라 재건축 이주수요가 발생하면서 전셋집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전세금도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재건축 이주에 밀린 세입자들은 서울 시내에서 상대적으로 전세금이 싼 금천ㆍ구로구 등으로 옮겨가거나 아예 용인, 파주, 부평 등 서울 밖으로 밀려나는 '전세난민' 신세가 되고 있다.
재건축 이주뿐만 아니라 저금리 심화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속화하고, 서울ㆍ수도권의 입주물량이 예년보다 부족한 것도 가을 전세난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24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강남4구 재건축 이주수요는 올해 하반기 3355가구를 시작으로 내년 8114가구, 2016년 이후 1만4674가구에 달한다. 강남4구에서만 2만6000가구가 넘는 새로운 전세 수요자가 생긴다는 얘기다.
특히 은행금리가 낮아 전세금을 받아도 돈 굴릴 때가 마땅치 않은 집주인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추세여서 전셋집 구하기는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강남4구에서 집을 구하지 못하면 서울 내 다른 지역으로, 여기서도 못 구하면 아예 수도권으로 밀려나기 때문에 강남4구발 전세난은 강남권만의 문제가 아니다. 실제 강남4구에서 '전세난민'들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면서 금천, 구로, 도봉 등 외곽 지역의 전세금은 최근 1년 새 10% 이상 급등했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리서치팀장은 "강남4구 세입자들이 성동ㆍ광진ㆍ동작 등 인접지역으로 이사가고, 이곳에 살던 사람들은 금천, 구로 등 변두리로 더 밀려나는 '도미노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남4구발 전세난 염려가 커지자 24일 서울시는 재건축 이주시기 분산, 모니터링 강화 등 전세난 대응책을 마련했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올해는 문제가 없지만 예정대로 재건축이 추진되면 내년부터는 공급량보다 이주ㆍ멸실량이 많아 전ㆍ월세난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조례를 개정해 2000가구 이하 단지라도 인접한 다른 정비구역과 이주 기간이 겹칠 경우 시기 분산 대상에 포함시키기로 했다. 또 500가구가 넘는 재건축 단지는 관리처분계획 신청 이전부터 조합과 자치구가 협의해 자율적으로 이주 시기를 분산하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진 실장은 "조례가 개정되면 개포시영, 개포1ㆍ2단지 등도 심의 대상에 포함된다"며 "이주 시기 조정은 최대한 자율에 맡기고 불가피할 경우 서울시가 강제 조정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고재만 기자 / 문지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