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도비만 증가, 30대 여성 상승폭 1위…이유 보니 '내 얘기야'
'초고도비만 증가'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비만' 상태인 초고도비만 환자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특히 20∼30대 젊은층에서 고도 또는 초고도 비만율이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건강보험공단은 2002∼2013 일반건강검진 자료 1억여건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초고도비만율은 0.2%에서 0.5%로, 고도비만율은 2.5%에서 4.2%로 상승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 조사에서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35(㎏/㎡) 이상이면 초고도비만, 30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됐습니다.
2013년 기준으로 여성 중 초고도 비만자 비율(0.50%)은 남성(0.47%)보다 높았지만, 고도비만의 경우 반대로 여성(3.7%)보다 남성(4.7%)에서 더 흔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 남성(0.9%)과 30대 여성(0.7%)의 초고도비만율이 가장 높았고 고도비만은 30대 남성(7.1%), 60대 여성(5.0%)에서 많았습니다.
2002년과 비교하면 초고도 비만율의 경우 30대 여성(0.11→0.69%, 6.3배)의 상승폭이 1위였습니다. 30대 남성(0.16→0.79%, 4.94배)에서도 초고도 비만이 크게 늘었습니다.
고도 비만율 상승폭은 30대 여성(3배)·20대 여성(2.8배)·30대 남성(2.3배)·20대 남성(2.2배) 등의 순으로 컸습니다. 20~30대 젊은 층에서 심한 비만이 늘어나는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얘기입니다.
오상우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20~30대 고도비만이 크게 늘어나는 것은 패스트푸드 소비 증가, 승용차 보급 확대에 따른 신체 활동 감소 등의 영향"이라며 "1980년대 이 같은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이 성인이 된 지금까지 스스로 조절이 불가능한 고도비만을 겪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비만 관리 차원에서 건강보험공단은 전문가들로 비만관리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건강검진 문진표에 정크푸드 섭취빈도 등의 설문항목을 추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초고도비만 증가' '초고도비만 증가'
'초고도비만 증가'
우리 사회에서 '심각한 비만' 상태인 초고도비만 환자가 갈수록 늘고 있습니다. 특히 20∼30대 젊은층에서 고도 또는 초고도 비만율이 빠르게 높아지는 추세입니다.
건강보험공단은 2002∼2013 일반건강검진 자료 1억여건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초고도비만율은 0.2%에서 0.5%로, 고도비만율은 2.5%에서 4.2%로 상승했다고 15일 밝혔습니다.
이 조사에서는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지수(BMI)가 35(㎏/㎡) 이상이면 초고도비만, 30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됐습니다.
2013년 기준으로 여성 중 초고도 비만자 비율(0.50%)은 남성(0.47%)보다 높았지만, 고도비만의 경우 반대로 여성(3.7%)보다 남성(4.7%)에서 더 흔했습니다.
연령별로는 20대 남성(0.9%)과 30대 여성(0.7%)의 초고도비만율이 가장 높았고 고도비만은 30대 남성(7.1%), 60대 여성(5.0%)에서 많았습니다.
2002년과 비교하면 초고도 비만율의 경우 30대 여성(0.11→0.69%, 6.3배)의 상승폭이 1위였습니다. 30대 남성(0.16→0.79%, 4.94배)에서도 초고도 비만이 크게 늘었습니다.
고도 비만율 상승폭은 30대 여성(3배)·20대 여성(2.8배)·30대 남성(2.3배)·20대 남성(2.2배) 등의 순으로 컸습니다. 20~30대 젊은 층에서 심한 비만이 늘어나는 속도가 가장 빠르다는 얘기입니다.
오상우 동국대 일산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20~30대 고도비만이 크게 늘어나는 것은 패스트푸드 소비 증가, 승용차 보급 확대에 따른 신체 활동 감소 등의 영향"이라며 "1980년대 이 같은 위험에 노출된 청소년이 성인이 된 지금까지 스스로 조절이 불가능한 고도비만을 겪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비만 관리 차원에서 건강보험공단은 전문가들로 비만관리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건강검진 문진표에 정크푸드 섭취빈도 등의 설문항목을 추가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초고도비만 증가' '초고도비만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