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0년대 대한민국 수출산업단지 1호인 구로공단의 배후 주거지로서, 여성·외국인 근로자들이 값싼 주거비용으로 고된 몸을 누여온 구로구 가리봉동 일대에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된다.
가리봉동은 지난 2003년 11월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되고 2005년 5월엔 전면철거 해 ‘디지털비즈니스시티로 개발, 인접 첨단산업단지를 지원하는 내용의 계획안이 결정됐다.
하지만 주민갈등과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지난 10년 간 건축허가가 제한되고 기반시설이 방치되는 등 정비·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으면서 슬럼화됐다.
벌집촌 및 상가소유자는 전면철거 재개발로 건물이 사라지면 임대소득이 감소한다는 이유로 사업을 반대하는 등 찬·반 갈등이 지속됐고, 땅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면서 토지보상비가 증가했다.
이후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하락으로 사업성은 떨어지고, 사업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의 지구지정 해제를 추진하고 전 단계로 계획을 환원한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시내 35개 뉴타운 중 뉴타운 지구 전체를 해제한 첫 사례 창신·숭인 일대에 이어 두 번째 뉴타운 지구 해제다. 이에 앞서 지난 2월 사업시행자인 LH공사는 가리봉사업 포기를 최종 통보했고, 주민 의견 수렴 결과 토지등소유자 32.49%가 사업 추진 반대의사를 피력했다.
시는 40일 이상의 주민공람 등 행정예고(9월), 재정비위원회 심의(10월)를 거친 후 오는 11월 지구 해제가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가리봉지구 해제와 함께 ①소통+경청 ②지역경제+일자리 ③주거환경+편의시설 ④안전+치안 이란 4대 목표를 수립했다.
특히 중국 조선족 동포가 가리봉 인구의 약30%를 차지하는 만큼, 중국 조선족 동포와 내국인 간 문화적 통합을 도모하고 치안 및 안전을 우선 확보하는 가운데 ‘多문화가 어우러져 함께 살아가는 동네를 만들어 나간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중국동포시장, 연변거리상가 등도 조성되면서 새로운 주거 집단정착지로 형성됐지만 상업 활동 장소에서는 중국 조선족 동포만의 공동체가 형성되고 무단쓰레기 방출, 음주로 인한 물의 등의 문화적 충돌이 심해지는 등 내국인과의 다문화의 통합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선 서울시는 지역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 수렴하는 '현장소통마당', 주민 소통·경청의 장인 '주민협의체'를 각각 구성해 조선족 동포와 내국인간의 문화적 통합을 도모한다.
또 중국동포시장과 연변거리 등은 시설현대화 및 특성화를 통해 차이나타운과 같은 지역명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고, 주민과 동포가 함께 소통하며 어울릴 수 있는 건강가족통합센터(다문화아동센터, 작은 도서관, 주민센터 등) 건립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첨단디지털단지로 탈바꿈한 구로와 가산디지털단지 사이에 위치한 입지 특성을 살려 디지털단지의 배후지원거점으로 조성하고, IT관련 청년창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벌집촌 체험거리도 조성해 산업화시대 공단근로자들의 고달팠던 삶의 흔적을 시민과 공유하고, 청년공공건축가들에겐 공예방과 창작 공간 등의 활동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신・구의 多문화가 어우러진 가리봉만의 독창성 있는 풍경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노후불량주택은 깨끗하게 살 수 있는 주거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 기반시설 등 편의시설은 조속한 보수 및 개량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개선해 나간다.
가리봉동의 치안과 안전 확보와 관련해선 골목길 보안등 설치 및 CCTV 증설, 안전보안관 배치, 범죄환경예방설계 적용 등을 추진함으로써 아이와 여성이 안전한 도시로의 변화를 시작한다.
또 물리적인 정비를 넘어 가리봉지역만의 고유한 자산과 공동체를 보전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경제·문화의 통합적인 재생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가리봉동은 지난 2003년 11월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로 지정되고 2005년 5월엔 전면철거 해 ‘디지털비즈니스시티로 개발, 인접 첨단산업단지를 지원하는 내용의 계획안이 결정됐다.
하지만 주민갈등과 부동산 경기 악화 등으로 지난 10년 간 건축허가가 제한되고 기반시설이 방치되는 등 정비·관리가 전혀 이뤄지지 않으면서 슬럼화됐다.
벌집촌 및 상가소유자는 전면철거 재개발로 건물이 사라지면 임대소득이 감소한다는 이유로 사업을 반대하는 등 찬·반 갈등이 지속됐고, 땅값이 과도하게 상승하면서 토지보상비가 증가했다.
이후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하락으로 사업성은 떨어지고, 사업추진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됐다.
이와 관련해 서울시는 ‘가리봉 균형발전촉진지구의 지구지정 해제를 추진하고 전 단계로 계획을 환원한다고 16일 밝혔다.
서울시내 35개 뉴타운 중 뉴타운 지구 전체를 해제한 첫 사례 창신·숭인 일대에 이어 두 번째 뉴타운 지구 해제다. 이에 앞서 지난 2월 사업시행자인 LH공사는 가리봉사업 포기를 최종 통보했고, 주민 의견 수렴 결과 토지등소유자 32.49%가 사업 추진 반대의사를 피력했다.
시는 40일 이상의 주민공람 등 행정예고(9월), 재정비위원회 심의(10월)를 거친 후 오는 11월 지구 해제가 최종 고시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가리봉지구 해제와 함께 ①소통+경청 ②지역경제+일자리 ③주거환경+편의시설 ④안전+치안 이란 4대 목표를 수립했다.
특히 중국 조선족 동포가 가리봉 인구의 약30%를 차지하는 만큼, 중국 조선족 동포와 내국인 간 문화적 통합을 도모하고 치안 및 안전을 우선 확보하는 가운데 ‘多문화가 어우러져 함께 살아가는 동네를 만들어 나간다는 밑그림을 그렸다.
중국동포시장, 연변거리상가 등도 조성되면서 새로운 주거 집단정착지로 형성됐지만 상업 활동 장소에서는 중국 조선족 동포만의 공동체가 형성되고 무단쓰레기 방출, 음주로 인한 물의 등의 문화적 충돌이 심해지는 등 내국인과의 다문화의 통합이 절실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선 서울시는 지역주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 수렴하는 '현장소통마당', 주민 소통·경청의 장인 '주민협의체'를 각각 구성해 조선족 동포와 내국인간의 문화적 통합을 도모한다.
또 중국동포시장과 연변거리 등은 시설현대화 및 특성화를 통해 차이나타운과 같은 지역명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고, 주민과 동포가 함께 소통하며 어울릴 수 있는 건강가족통합센터(다문화아동센터, 작은 도서관, 주민센터 등) 건립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첨단디지털단지로 탈바꿈한 구로와 가산디지털단지 사이에 위치한 입지 특성을 살려 디지털단지의 배후지원거점으로 조성하고, IT관련 청년창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벌집촌 체험거리도 조성해 산업화시대 공단근로자들의 고달팠던 삶의 흔적을 시민과 공유하고, 청년공공건축가들에겐 공예방과 창작 공간 등의 활동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신・구의 多문화가 어우러진 가리봉만의 독창성 있는 풍경을 만들어 나간다는 계획이다.
노후불량주택은 깨끗하게 살 수 있는 주거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 기반시설 등 편의시설은 조속한 보수 및 개량을 통해 주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개선해 나간다.
가리봉동의 치안과 안전 확보와 관련해선 골목길 보안등 설치 및 CCTV 증설, 안전보안관 배치, 범죄환경예방설계 적용 등을 추진함으로써 아이와 여성이 안전한 도시로의 변화를 시작한다.
또 물리적인 정비를 넘어 가리봉지역만의 고유한 자산과 공동체를 보전하고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경제·문화의 통합적인 재생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