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가 26위인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상에서 화제가 됐다.
세계경제포럼(WEF)이 3일 발표한 국가경쟁력 평가에 따르면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144개국 중 26위로 지난해보다 1단계 하락했다. 이는 2004년 29위 이후 10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WEF가 설정한 한국의 국가경쟁력 순위는 2007년 11위로 정점을 찍은 뒤 2012년 24위에서 19위로 오른 것을 제외하면 매년 떨어지고 있다.
국가경쟁력은 기본요인, 효율성 증진, 기업혁신 및 성숙도 등 3가지 부문으로 나누어지는데 한국의 경우 '기본요인'은 작년과 같은 20위를 기록했으나 '효율성 증진'이 23위에서 25위로, '기업혁신 및 성숙도'가 20위에서 22위로 각각 하락했다.
'기본요인' 분야에선 '거시경제 환경'만 9위에서 7위로 올랐다. 제도적 요인(74→82위), 인프라(11→14위), 보건·초등교육(18→27위)은 순위가 내려갔다.
'효율성 증진 분야'에선 '금융시장 성숙도'가 81위에서 80위로, 시장규모가 12위에서 11위로 개선됐다. 상품시장 효율성은 33위로 작년과 같았다. 고등교육 및 훈련(19→23위), 노동시장 효율성(78→86위), 기술수용 적극성(22→25위) 등은 순위가 하향 조정됐다.
'기업혁신 및 성숙도 분야'에선 '기업활동 성숙도'가 24위에서 27위로 떨어졌으며 '기업혁신'은 작년과 같은 17위를 기록했다.
12개 부문별로 살펴보면 거시경제 환경(7위), 시장규모(11위), 인프라(14위), 기업혁신(17위) 등 4개 부문은 20위권 이내를 기록해 강점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금융시장 성숙도(80위), 제도적 요인(82위), 노동시장 효율성(86위) 등 3개 부문은 80위권 밖으로 밀려나 취약부문으로 지적됐다.
한편 지난해에 이어 스위스와 싱가포르는 국가경쟁력 1위, 2위 순위를 유지했으며 미국과 핀란드, 독일, 일본, 홍콩, 네덜란드, 영국과 스웨덴 등이 뒤를 이었다.
기획재정부는 "전체 평가의 30%를 차지하는 통계지표는 전반적으로 순위가 상승했지만 70%를 차지하는 설문지표는 하락했다"며 "설문조사가 진행된 지난 2~4월에 일어난 개인정보 유출사건, 북한 미사일 발사, 세월호 사고 등이 기업인의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왜 자꾸 하락하지?"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1위는 스위스구나" "한국 국가경쟁력 순위, 26위구나" 등의 반응을 보였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