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직장인 21%, 광복 맞은 해가 언제 였더라…?"
입력 2014-08-13 11:38 

직장인 10명중 2명은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로부터 광복을 맞은 해를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 평가한 자신의 역사인식 수준(5점 만점)은 평균 3.4점이었다.
직장인교육 전문기업 휴넷은 13일 직장인 535명을 대상으로 '광복절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가 일제강점기로부터 광복을 맞은 해가 언제인지를 묻는 질문에 '1945년 8월 15일'정답을 맞힌 응답자는 전체의 78.9%였다.

이외 21.1%는 오답을 택했는데 '1948년'10.7%, '1950년' 5.4%, '1951년' 2.8%, '1919년' 2.2% 순이었다.
광복절 하면 떠오르는 것(복수응답)은 '대한독립만세'가 75.0%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태극기' 50.1%, '일본' 16.4%, '유관순' 12.9%, '김구' 11.2% 등이 따랐다.
스스로의 역사인식 수준에 대해 5점 만점에 평균 3.4점으로 조사됐다.
한편 성인에게도 역사교육이 필요한지에 대해 응답자의 99.3%가 '그렇다'고 답했다.
언제 역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31.0%가 '사회 내부적인 역사 이슈가 생길 때'를 꼽았다.
그 뒤를 '자녀에게 역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될 때' 24.7%, '자신이 역사적으로 무지하다고 느낄 때'19.8%, '외교적인 갈등 이슈가 있을 때'17.9%, '역사와 관련된 책, 드라마 등이 유행할 때' 2.8% 순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86.5%는 올해 광복절 태극기를 게양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태극기 게양할 의사가 없는 이유는 '태극기 또는 꽂이가 없어서'가 54.2%로 가장 많았다.
그 뒤를 '태극기 게양의 필요성을 못 느껴서' 18.1%, '여행을 가서' 9.7%, '일이 바빠서' 9.7% 등의 순이었다.
[매경닷컴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