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수십톤 폐목재 덮힌 해운대, 피서객-상인 '울상'…11호 태풍 할롱까지?
입력 2014-08-04 20:12 
'해운대 폐목재' '11호 태풍 할롱' / 사진=해운대구 트위터


수십톤 폐목재 덮힌 해운대, 피서객-상인 '울상'…11호 태풍 할롱까지?

'해운대 폐목재' '11호 태풍 할롱'

4일 해운대해수욕장 앞바다를 뒤덮은 폐목재가 지난해 7월 부산 앞바다에서 침몰한 선박에 실려 있던 화물인 것으로 확인돼 바다밑까지 뒤집는 태풍의 위력을 실감케 했습니다.

이날 부산해양경찰서에 따르면 폐목재는 지난해 7월 2일 오후 9시 37분쯤 부산 남외항 N-4 묘박지에서 닻을 내리다가 기상악화로 생도 남쪽 암초에 좌초해 침몰한 3만1천t급 화물선에 실려 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침몰 선박에 실려 있던 합판과 해운대 백사장 등지에 떠밀려온 부서진 폐목재에 적힌 글자가 같았습니다.

배에는 합판 9천897t과 철재 코일 2천662t 등 벌크화물 4만t이 실려 있었습니다.


사고 화물선은 수심 50m에 침몰해 있었는데 화물선 선주가 구난업체와 선체 인양작업을 벌여 배 앞쪽 76m는 절단해 인양했습니다.

폐목재는 침몰한 배의 뒷부분(길이 140m 추정)에 실려 있다가 태풍으로 조류가 빨라지는 바람에 묶음장치가 풀리면서 조류와 파도를 타고 침몰지점에서 15㎞ 떨어진 해운대와 6㎞ 떨어진 백운포, 영도구 동삼동 하리 인근까지 이동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강한 태풍은 바닷속까지 뒤집어 놓는다는 속설이 현실로 나타난 셈입니다.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관측과 변도성 해양수산연구관은 "생도 해역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강한 바람이 부는데다 동해안 쪽으로 올라가는 동한난류의 영향도 크다며 "태풍이 몰고온 강풍, 강한 조류, 파도 등에 침몰 선박에 있던 폐합판이 해운대 등지로 떠밀려간 것으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11호 태풍 할롱이 북상하고 있다고 전해졌습니다.

제12호 태풍 '나크리'가 서해상에서 소멸한 데 이어 태풍 '할롱'(HALONG)'이 이번 주말 서귀포 남쪽 해상으로 들어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3일 기상청 국가태풍센터에 따르면 제11호 태풍 할롱이 이날 오후 3시 현재 괌 서쪽 약 1천280㎞ 부근 해상에서 서북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습니다.

이 태풍은 '나크리'보다 하루 앞선 지난달 29일 낮 12시 괌 동남동쪽 해상에서 발생한 뒤 서쪽으로 이동하면서 세력을 키워왔습니다.

현재 중심기압 915헥토파스칼(hPa)에 최대풍속 초속 54m, 강풍반경 500㎞로 강도는 '매우 강', 크기는 대형입니다. 최대 풍속은 초속 54m로 달리는 차도 뒤집을 수 있을 정도입니다.

할롱은 규모와 강도 면에서 올해 들어 발생한 태풍 가운데 가장 강력하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기상청은 할롱이 일본 오키나와 인근 해상에서 북쪽으로 계속 이동해 8일께에는 서귀포 남쪽 해상까지 접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해운대 폐목재' '11호 태풍 할롱' '해운대 폐목재' '11호 태풍 할롱' '해운대 폐목재' '11호 태풍 할롱'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