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인 경상수지 흑자로 한국의 순대외부채 잔액은 줄고 있지만, 환율과 주가의 변동폭이 크다면 대외부채가 큰 폭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정용 한은 국외투자통계팀 과장과 구현회 조사역은 14일 발간한 '최근 우리나라의 국제투자 균형에 대한 평가' 보고서에서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지고 주가.환율 변동성이 크지 않다면 한국이 1∼2년 내 순대외자산 국가로 전환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은 조금만 변해도 외국인 투자금액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환율과 주가가 고정됐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제한적인 분석이란 평가가 나온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관련 통계가 편제된 1994년 말 이후 계속해서 대외부채(외국인투자)가 대외자산(대외투자)보다 많은 순대외부채국 이었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인 2007년 9월 2139억달러에 달했던 순대외부채 잔액은 올해 3월 말 현재 43억달러로 크게 줄어 균형 수준에 가까워졌다.
순대외부채가 줄어든 것은 주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큰 폭의 경상수지 흑자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2008년 32억달러에 불과했던 경상수지 흑자는 2010년 289억달러, 2012년 508억달러, 작년에는 799억달러로 크게 늘었다. 6년만에 흑자가 25배가 된 것이다.
생산비용 절감과 해외시장 개척을 목적으로 한 한국의 대외 직접투자가 크게 늘어난 것도 원인이 됐다. 한국의 대외직접투자 잔액은 2007년 748억달러에서 2013년 2287억달러로 3배 증가했다. 지난해 한국은 해외로부터 1745억달러의 직접투자를 받아 해외에 투자한 금액이 542억달러 더 많았다. 저금리, 경제 성장세 둔화 등으로 국내 투자 수익률이 낮아지자 민간부문뿐 아니라 국민연금 등 공적부문은 해외증권 투자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킨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경상수지가 계속해서 흑자였음에도 한국이 순대외부채국 상태였던 것은 금융위기 이후 외국인의 국내 주식.채권 투자가 확대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주가 상승과 원화가치 상승으로 외국인이 투자한 자산의 평가액이 크게 증가한 것이다.
이정용 한은 과장은 "한국의 전체 외국인 투자에서 원화투자는 65%가량 차지하고 종목별로는 주가가 39% 차지한다"며 "원화가 1% 절상되거나 주가가 10%만 올라도 외국인 투자자산은 큰 폭으로 변동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외국인들의 주식 투자액이 3800억 달러에 달하는 만큼 주가의 10%인 380억달러가 증가하면 대외부채 증가폭이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김태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