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河野)담화 작성 과정에서 먼저 한국에 의논을 요청했다고 조세영 동서대 특임교수가 밝혔다.
조 특임 교수는 고노담화 작성 당시 주일 한국대사관에서 역사 관련 사안을 담당했고 후에 외교통상부 동북아시아 국장을 지냈다.
그는 17일 보도된 산케이(産經)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구체적으로는 일본 자신의 판단에 따라 발표해야 한다는 것이 고노 담화의 내용에 관한 한국 정부의 생각이었다"면서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일본 정부의 고위 인사로부터 '일본 측이 결정하기를 바라는 마음은 안다. 나중에 조율했다는 것이 밝혀지면 여론의 비판을 받을 우려가 있다는 걱정도 알지만 내밀하게 의논하고 싶다'는 요청이 있었다"고 밝혔다고 신문은 전했다.
조 특임교수는 "이 고위 인사가 '뒤에서 한국에 책임을 전가할 생각은 없다'고 했으며, 한국이 상담에 응한 계기는 일본의 요청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일본 측이 담화의 초안을 제시했고 이에 한국 측이 대체로 당사자의 의사에 반해서 이뤄졌다는 내용이라면 괜찮을 것이라는 뜻을 표명했다고 설명했다.
산케이신문은 고노담화 발표시 일본 정부가 '한국과 사전 조정을 하지 않았다'고 발표했지만 관계자 등에 대한 취재를 통해 양국 정부가 담화의 문구와 표현까지 '면밀하게 조율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한국 정부는 고노담화가 기본적으로 피해자·일본군·조선총독부 관계자·위안소 경영자·위안소 부근 거주자 등의 증언, 현지조사, 일본·미국 공문서, 한국 측 보고서, 피해자 할머니 증언집 등에 대한 일본 정부의 자체 조사와 판단에 따른 것이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일본 측이 고노담화 작성 경위 검증을 명분으로 담화의 가치를 훼손하려고 시도하면 일본의 책임을 입증할 수 있는 국내외의 권위 있는 자료·견해를제시하며 정면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매경닷컴 속보부]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