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N스타 손진아 기자] 폴리아티스트는 영화 작업에 없어서는 안되는 스태프 중 한명이다. 그들은 소리가 없는 장면에선 이에 맞는 소리를 만들어내 자연스럽게 입혀야 하며, 소리가 있지만 강조해야할 부분이라면 이 또한 영상에 맞게 소리를 내야 한다.
폴리아티스트 이승호는 영화 ‘카리스마 탈출기(2006)부터 시작해 ‘마음이(2006) ‘아랑(2006) ‘외톨이(2008) ‘이태원 살인사건(2009) ‘쩨쩨한 로맨스(2010) ‘친정엄마(2010) ‘퍼펙트게임(2011) ‘늑대소년(2012) ‘러브픽션(2012) ‘사랑해 진영아(2013) ‘코알라(2013) ‘롤러코스터(2013) ‘뜨거운 안녕(2013) ‘용의자(2013) ‘집으로 가는 길(2013) ‘인간중독(2014) 등 다양한 작품과 함께 했다.
그는 영상에 어울리고, 섬세하게 들어가야 할 소리를 작업 위해 항상 노력을 기울이고 상상의 나래도 펼치고 있다.
Q. 폴리아티스트 일을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
A. 일을 시작한지는 10년이 좀 넘었다. 친구 따라 강남 갔다고 해야 할까?(웃음) 친구가 영화쪽에 몸을 담고 있었는데, 호기심이 생겨서 구경 갔다가 입문하게 됐다.
Q. 구경 갔다가 시작하게 됐다고 하지만, 특별한 흥미나 끌림을 느꼈던 건가.
A. 그 당시, 직장을 다니고 있었다. 직장 생활에 회의 같은 게 있었는데 놀러갔다가 ‘이런 길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또 아무것도 몰랐었으니깐 왠지 멋있어 보이기도 했다. 그런데 친구 따라 갔다 잠깐 작업을 해봤는데, 그냥 하신 소린지는 모르겠지만 작업실에 계시던 분이 ‘소질 있는 것 같다고 하더라.(웃음) 그래서 더 흥미를 갖게 됐다.
Q. 폴리아티스트의 근무여건은 어떤가.
A. 음향 등 여건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작업에 들어가면 매일 밤을 새야한다. 보통 한 작품을 작업하면 일주일 이내의 시간이 걸린다. ‘용의자 같은 경우엔 2주 정도 걸렸다. 페이는 그렇게 많다고 볼 수는 없다.
Q. 폴리아티스트를 하려면 왠지 소리에도 민감해야할 것 같다.
A. 소리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발소리는 그냥 발소리 내면 되는 거 아니야?했는데 그게 아니였다. 화면하고 붙여놓으니 가짜 티가 너무 많이 났다. 잘하시는 분들은 숙련도와 기술의 차이에서 나오는 거긴 하지만 처음엔 이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화면과 소리가 융합이 잘되야 되는데 안 됐던 것 같다. 처음엔 그게 좀 힘들었다.
Q. 작업을 하면서 특별히 내기 어려웠던 소리가 있었나.
A. 몸을 많이 쓰는 것? 싸움신을 하면 옷 소리도 내야하고 사람이 넘어졌을 때 ‘쾅 소리를 내는 것도 해야 하는데, 일단 육체적으로 힘들었다. 또 실제적으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 건데, 소리를 만들어 넣어야 하는 경우도 어렵다. 무슨 소리가 날지 아무도 모르는데 상상해서 만들어 넣어야 할 때가 어려운 것 같다.
Q. 작업할 때 쓰이는 도구들도 엄청날 것 같다.
쓰이는 도구들이 많다. 고물상 같다.(웃음) 실생활에 있는 건 다 쓰인다. 요즘은 녹음해놓은 소스를 많이 쓰는데, 옛날엔 그런 게 없어서 진짜 신기한 일들을 많이 했다. 지금은 그나마 환경이 좋아져서 그렇게 하지 않는다.
Q. 폴리아티스트로 활약하면서 보람될 때는 언제인가.
A. 실제로 소리가 안 나는 건데, 장면에 꽤 어울릴 만한 소리가 나올 때 희열을 느낀다. 또 전체적으로 ‘음향, 믹싱이 잘됐다고 얘기를 들을 때 기분이 좋다.
Q. 반면 힘들 때도 분명 있을 것이다.
A. (내가 작업한) 영화 흥행이 안됐을 때다. 이건 영화인 누구나 다 기운이 안날 거다. 영화인의 한 사람으로서 그런 것 같다.
Q. 폴리아티스트를 꿈꾸는, 활약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한마디 하자면.
A. 폴리뿐만 아니라 영화 쪽에서 일을 하고자 하는 친구들이 이 일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는 것 같다. 그런 환상은 빨리 버려야 하고 각오도 단단히 하고 시작해야 한다. 어떤 분야든 시간을 투자하고 노력하면 어느 순간 전문가가 돼있고 장인이 되는 것 같다.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
폴리아티스트 이승호는 영화 ‘카리스마 탈출기(2006)부터 시작해 ‘마음이(2006) ‘아랑(2006) ‘외톨이(2008) ‘이태원 살인사건(2009) ‘쩨쩨한 로맨스(2010) ‘친정엄마(2010) ‘퍼펙트게임(2011) ‘늑대소년(2012) ‘러브픽션(2012) ‘사랑해 진영아(2013) ‘코알라(2013) ‘롤러코스터(2013) ‘뜨거운 안녕(2013) ‘용의자(2013) ‘집으로 가는 길(2013) ‘인간중독(2014) 등 다양한 작품과 함께 했다.
그는 영상에 어울리고, 섬세하게 들어가야 할 소리를 작업 위해 항상 노력을 기울이고 상상의 나래도 펼치고 있다.
Q. 폴리아티스트 일을 어떻게 시작하게 됐나?
A. 일을 시작한지는 10년이 좀 넘었다. 친구 따라 강남 갔다고 해야 할까?(웃음) 친구가 영화쪽에 몸을 담고 있었는데, 호기심이 생겨서 구경 갔다가 입문하게 됐다.
Q. 구경 갔다가 시작하게 됐다고 하지만, 특별한 흥미나 끌림을 느꼈던 건가.
A. 그 당시, 직장을 다니고 있었다. 직장 생활에 회의 같은 게 있었는데 놀러갔다가 ‘이런 길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또 아무것도 몰랐었으니깐 왠지 멋있어 보이기도 했다. 그런데 친구 따라 갔다 잠깐 작업을 해봤는데, 그냥 하신 소린지는 모르겠지만 작업실에 계시던 분이 ‘소질 있는 것 같다고 하더라.(웃음) 그래서 더 흥미를 갖게 됐다.
Q. 폴리아티스트의 근무여건은 어떤가.
A. 음향 등 여건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작업에 들어가면 매일 밤을 새야한다. 보통 한 작품을 작업하면 일주일 이내의 시간이 걸린다. ‘용의자 같은 경우엔 2주 정도 걸렸다. 페이는 그렇게 많다고 볼 수는 없다.
사진=손진아 기자
Q. 폴리아티스트를 하려면 왠지 소리에도 민감해야할 것 같다.
A. 소리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발소리는 그냥 발소리 내면 되는 거 아니야?했는데 그게 아니였다. 화면하고 붙여놓으니 가짜 티가 너무 많이 났다. 잘하시는 분들은 숙련도와 기술의 차이에서 나오는 거긴 하지만 처음엔 이 부분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 화면과 소리가 융합이 잘되야 되는데 안 됐던 것 같다. 처음엔 그게 좀 힘들었다.
Q. 작업을 하면서 특별히 내기 어려웠던 소리가 있었나.
A. 몸을 많이 쓰는 것? 싸움신을 하면 옷 소리도 내야하고 사람이 넘어졌을 때 ‘쾅 소리를 내는 것도 해야 하는데, 일단 육체적으로 힘들었다. 또 실제적으로는 소리가 나지 않는 건데, 소리를 만들어 넣어야 하는 경우도 어렵다. 무슨 소리가 날지 아무도 모르는데 상상해서 만들어 넣어야 할 때가 어려운 것 같다.
Q. 작업할 때 쓰이는 도구들도 엄청날 것 같다.
쓰이는 도구들이 많다. 고물상 같다.(웃음) 실생활에 있는 건 다 쓰인다. 요즘은 녹음해놓은 소스를 많이 쓰는데, 옛날엔 그런 게 없어서 진짜 신기한 일들을 많이 했다. 지금은 그나마 환경이 좋아져서 그렇게 하지 않는다.
Q. 폴리아티스트로 활약하면서 보람될 때는 언제인가.
A. 실제로 소리가 안 나는 건데, 장면에 꽤 어울릴 만한 소리가 나올 때 희열을 느낀다. 또 전체적으로 ‘음향, 믹싱이 잘됐다고 얘기를 들을 때 기분이 좋다.
사진=손진아 기자
Q. 반면 힘들 때도 분명 있을 것이다.
A. (내가 작업한) 영화 흥행이 안됐을 때다. 이건 영화인 누구나 다 기운이 안날 거다. 영화인의 한 사람으로서 그런 것 같다.
Q. 폴리아티스트를 꿈꾸는, 활약하고 있는 후배들에게 한마디 하자면.
A. 폴리뿐만 아니라 영화 쪽에서 일을 하고자 하는 친구들이 이 일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는 것 같다. 그런 환상은 빨리 버려야 하고 각오도 단단히 하고 시작해야 한다. 어떤 분야든 시간을 투자하고 노력하면 어느 순간 전문가가 돼있고 장인이 되는 것 같다.
손진아 기자 jinaaa@mkcultur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