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탄자니아에 파견된 코이카(KOICA) 봉사단원이 말라리아에 걸려 목숨을 잃었습니다.
봉사단원 관리책임이 있는 현지 코이카 사무소는 숨진 단원의 몸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도 직접 확인하지는 않은 채 병원 치료를 권유하다 이틀 가까이 보낸 것으로 드러나 초기 질병 대응이 안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27일 복수의 코이카 관계자들에 따르면 탄자니아에 파견돼 태권도를 가르치던 코이카 봉사단원 A(34)씨는 20일(이하 현지시간) 수도 다레살람의 AMI병원에서 말라리아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이튿날인 21일 오후 혼수상태에 빠져 있다가 사망했습니다.
지난해 9월 탄자니아에 파견된 A씨는 다레살람 국립경찰대학에서 태권도를 가르쳐 왔고 태권도 유단자로도 알려졌습니다.
A씨가 몸이 아프다는 사실은 18일 밤 현지인 스태프를 통해 코이카 현지 사무소에 보고됐습니다. 하지만 사무소 측은 다음 날까지도 A씨 몸 상태를 직접 확인하지 않은채 전화로만 병원 치료와 입원을 권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시 사무소 측은 A씨가 경찰대학 내 숙소나 병원이 아닌 지인 집에서 간호를 받고 있었던 것을 알고 있었으나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사무소 측은 20일이 되도 A씨의 몸 상태가 호전되지 않자 AMI병원으로 데려가 입원 조치했고, 검사에서는 말라리아 확진 판정이 나왔습니다.
위중한 상태에서 병원에 온 A씨는 21일 몸 상태가 나빠지며 급기야 혼수상태에 빠졌고, 당일 오후 8시 5분께 숨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코이카 관계자는 현지 사무소의 초기 대응이 늦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에 "당사자(A씨)에게 입원을 여러 번 권유했지만 쉬겠다고 했다"며 "대응이 늦었다기보다는 (조치에)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병원으로) 억지로 끌고 갔다면 상황이 달랐는지는 모르겠지만 예외적인 경우였던 거 같다"면서 "사망을 진단한 의사가 이번 사례처럼 말라리아충이 급속히 번지는 것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라고 설명했다"고 해명했습니다.
A씨 시신은 한국시간으로 28일 오후 국내로 들어옵니다.
봉사단원 관리책임이 있는 현지 코이카 사무소는 숨진 단원의 몸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도 직접 확인하지는 않은 채 병원 치료를 권유하다 이틀 가까이 보낸 것으로 드러나 초기 질병 대응이 안일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27일 복수의 코이카 관계자들에 따르면 탄자니아에 파견돼 태권도를 가르치던 코이카 봉사단원 A(34)씨는 20일(이하 현지시간) 수도 다레살람의 AMI병원에서 말라리아 확진 판정을 받은 뒤 이튿날인 21일 오후 혼수상태에 빠져 있다가 사망했습니다.
지난해 9월 탄자니아에 파견된 A씨는 다레살람 국립경찰대학에서 태권도를 가르쳐 왔고 태권도 유단자로도 알려졌습니다.
A씨가 몸이 아프다는 사실은 18일 밤 현지인 스태프를 통해 코이카 현지 사무소에 보고됐습니다. 하지만 사무소 측은 다음 날까지도 A씨 몸 상태를 직접 확인하지 않은채 전화로만 병원 치료와 입원을 권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당시 사무소 측은 A씨가 경찰대학 내 숙소나 병원이 아닌 지인 집에서 간호를 받고 있었던 것을 알고 있었으나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았습니다.
사무소 측은 20일이 되도 A씨의 몸 상태가 호전되지 않자 AMI병원으로 데려가 입원 조치했고, 검사에서는 말라리아 확진 판정이 나왔습니다.
위중한 상태에서 병원에 온 A씨는 21일 몸 상태가 나빠지며 급기야 혼수상태에 빠졌고, 당일 오후 8시 5분께 숨진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코이카 관계자는 현지 사무소의 초기 대응이 늦었던 것 아니냐는 지적에 "당사자(A씨)에게 입원을 여러 번 권유했지만 쉬겠다고 했다"며 "대응이 늦었다기보다는 (조치에) 아쉬운 부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다른 관계자는 "(병원으로) 억지로 끌고 갔다면 상황이 달랐는지는 모르겠지만 예외적인 경우였던 거 같다"면서 "사망을 진단한 의사가 이번 사례처럼 말라리아충이 급속히 번지는 것은 아주 예외적인 경우라고 설명했다"고 해명했습니다.
A씨 시신은 한국시간으로 28일 오후 국내로 들어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