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조사로까지 번질 조짐인 롯데홈쇼핑 납품비리 관련해 전문가들은 '업계의 구조'를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진단했다.
4일 오전 MBN '뉴스공감'에 출연한 박경중 경신련 시민권익센터 운영위원장은 "MD(상품기획자)에게 상품 선정 권한이 있는데 대부분 이를 악용하기 때문에 뒷돈 거래를 한다"며 "MD와 납품업체를 연결해주는 중간 브로커가 황금시간대를 돈으로 주고 받으면서 비리로 이어진다"고 비판했다.
이어 홈쇼핑업계의 납품구조와 관련해 "비리가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을 차단하는 공정거래 위원회가 마련돼 불공정거래를 사전에 막아야한다"며 "외부 인사로 구성된 감독기구를 만들어 상품 선정 과정을 투명하게 해야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같이 출연한 김수형 매일경제신문 산업부 기자는 "홈쇼핑회사의 횡포는 계약파기·광고비용·비용전가"라며 구체적인 횡포 단계를 분류했다.
홈쇼핑회사에 34%에 달하는 공식 판매수수료를 떼주고 배송비와 영상 제작비 등의 판매 촉진비 역시 납품업체가 떠맡고 있다는 것이 김 기자의 설명이다.
아울러 홈쇼핑회사에서는 황금 시간 때 방송하는 조건으로 광고비용까지 요구하고 있어 갖가지 명목의 판매비를 제하면 실제로 납품업체들이 손에 쥐는 금액은 더 줄어든다.
최근 신생 중소기업이거나 새 제품을 홍보하려는 유통업자들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홈쇼핑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때문에 홈쇼핑 업체들은 '갑'의 위치를 유지하며 방송 편성을 좌우하고 뒷돈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2012년에도 4개 홈쇼핑업체 관계자 7명이 납품업체로부터 청탁과 함께 수억원을 받은 혐의로 검찰에 구속된 바 있다.
이에 정부에서는 상품기획자의 권한을 축소하고 수수료를 낮추는 등의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홈쇼핑회사의 악행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어 '홈쇼핑업계의 구조상 당연시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매경닷컴 박인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