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지하수로 흘러간 우라늄이 일시적으로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원인을 밝혀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성폐기물처분연구부 이승렬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지하에 살고 있는 미생물이 우라늄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을 발견했다고 11일 밝혔다.
기존 연구에서는 지하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우라늄을 물에 녹지 않게 변화시켜 지하수를 따라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고 알려져왔다. 하지만 실제로 우라늄에 오염된 지하수를 살펴보면 우라늄 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했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지하 암반수에 생존하는 박테리아의 일종인 '디설포비브리오(Desulfovibrio)'이 지하수에 녹아 있는 황(S)과 철(Fe)을 이용해 전기가 잘 통하는 황화철(FeS)을 다량으로 만들어냄을 발견했다. 황화철은 우라늄을 물에 녹지 않게 바꾸게 되는데 이때 우라늄의 농도가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다.
이 선임연구원은 "미생물이 유기물을 분해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전자가 우라늄을 지하수에 다시 녹게끔 한다"며 "따라서 지하수에 유출된 우라늄은 처음에는 농도가 줄었다가 다시 증가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로 지표수와 다르게 관측이 어려운 지표면 아래 지하수를 따라 우라늄이 급속히 확산되는 문제를 규명했다"며 "땅속 우라늄의 이동이 지하 미생물의 광물 생성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힘으로써 방사능 오염 및 확산 방지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지구화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과학 전문지인'화학지질(Chemical Geology)'제370호에 발표됐다.
[원호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