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8일 국민카드, 롯데카드, 농협카드에 대한 KCB직원의 정보유출 사건이 검찰기소로 수면위로 떠오른지 50일이 지났다.
그간 3개 카드사에 대한 3개월 영업정지와 국회 정무위의 국정조사 이후 정보유출 폭풍은 일단 정리되는 모양새다.
그러나 후폭풍은 남아있다. 정보유출 3개 카드사를 제외한 경쟁사들도 '반사이익'보다는 '반사손실'을 감수해야 하고 개인정보 관리와 텔레마케팅 영업에 대한 요건은 이전보다 훨씬 엄격해졌다.
우선 여론조사업체인 리얼미터가 이번달 발표한 11개 카드사에 대한 브랜드지수(BMSI)조사 결과를 보면 고객정보가 유출된 KB국민·NH농협·롯데카드 등 카드 3사를 포함해 신한카드와 삼성카드 등의 지수가 동반 하락했다
업계 1위인 신한카드 지수는 정보유출 항목이 공개된 지난달 17일 전후로 52.3에서 50.5로 1.8포인트 떨어졌으며 삼성카드는 41.7에서 39.6으로 2.1포인트 하락했다. 씨티은행카드와 우리카드도 정보유출 이후 각각 1.2, 0.4포인트 감소했다.
다만 외환카드와 하나SK카드의 BMSI지수는 5.7, 4.8포인트씩 올랐고 현대카드는 0.2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기업은행카드의 경우 변화가 없었다.
28일 A카드사 관계자는 일각에서 언급된 경쟁카드사의 '반사이익'에 대해 선을 그었다.
이 관계자는 "롯데카드의 경우 백화점 고객들이 많고 농협카드는 고령층이 많아 충성도가 높은 회원들이 대다수"라며 "국민카드는 체크카드 위주로 이용하는 고객들이 많아 원(one)카드로 쓰기보다는 이미 타카드를 갖고 있는 고객들이 많아 역시 경쟁사에 주는 반사이익이 크지 않다"고 말했다.
특히 카드 소비가 위축돼 전체파이가 줄어들 것을 우려했다. 그는 "주변사람들만 봐도 다들 괘씸해서라도 카드결제를 꺼리고 현금을 선호하는 분위기이지 않나"라고 반문했다.
다만 영업정지를 받은 국민카드와 농협카드는 해당 은행에서도 체크카드를 발급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신규고객들은 다른 카드사의 체크카드를 발급받을 수밖에 없다. 영업정지 이후 경쟁 카드사들의 체크카드 발급 실적을 주시해 볼 이유다.
B카드사 관계자는 정보유출 이후 카드사의 영업요건이 엄격해져 오히려 기존보다 수익을 내기가 어려워졌음을 지적했다. 다음주 정부에서 발표할 '개인정보 보호 종합대책'에는 신용카드를 이용한 본인인증.비대면거래 등에 대한 절차가 강화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관계자는 "개인 정보를 다루는 요건은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고 이미 예정된 텔레마케팅 인력을 증원할 때마저 눈치를 보아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정보유출 대란 이후 카드 회원들에게 제휴혜택을 제공하는 잡지사, 여행사 등의 업체들을 일일이 점검해 혹시나 모를 추가 정보 유출을 예방하는 등 관련 업무가 크게 증가한 상태"라고 덧붙였다.
C카드사 관계자는 정보유출 후폭풍으로 최근 집중했던 빅데이터 마케팅이 주춤했다고 우려했다. 빅데이터 사업의 근간이 되는 개인정보에 민감한 현 시점에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는 부담이라는 것이다.
그는 "전사적으로 밀고 있던 광고는 중단한 상태이며 빅데이터 사업에 필수적인 관련 법 개정 등은 국회에서 자연스레 뒤로 밀려난 상태"라고 설명했다.
다만 빅데이터 사업은 개인의 민감정보를 직접적으로 다루지 않고 지역별.업종별 이용행태에 대한 통계분석만으로 빅데이터 도출이 가능한 경우도 많아 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바뀐다면 빅데이터 사업 가속화에 오히려 탄력이 붙을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매경닷컴 윤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