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도심 유휴 공간이 물과 나무가 있는 소생태계로 조성된다.
광주광역시는 조류·곤충 등 소생물이 사는 ‘도심 내 유휴공간 소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오는 2016년까지 5곳 이상을 ‘물의 정원으로 조성키로 하고 사업 대상지 발굴과 국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첫 조성지는 남구 주월동 장산초교 인근 유휴부지로, 오는 4월 시작해 11월이면 1293㎡ 규모의 정원을 선보이게 된다.
예산은 환경부에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으로 신청해 광주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서 납부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금(2억5000만원)을 활용할 예정이다.
‘물의 정원은 소생물 서식 공간과 시민 휴식 공간으로 나뉜다.
생물 서식 공간에는 빗물 등을 이용한 습지로 조성해 수생정화식물과 습지 주변 교목, 초목류를 심어 소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시민 이용 공간에는 정자(쉼터)와 발 담그는 곳 등을 설치해 소생물 생존 공간 복원과 저탄소 친환경 피서공간으로 재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곳은 인근 금당산 중앙공원과 폐선부지 푸른길공원 사이에 위치해 녹색공간 두 곳을 연결하고, 주택가 주변 자투리 땅을 자연생태적 공간으로 활용하는 첫 사례로 기록될 예정이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
광주광역시는 조류·곤충 등 소생물이 사는 ‘도심 내 유휴공간 소생태계 복원사업을 통해 오는 2016년까지 5곳 이상을 ‘물의 정원으로 조성키로 하고 사업 대상지 발굴과 국비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첫 조성지는 남구 주월동 장산초교 인근 유휴부지로, 오는 4월 시작해 11월이면 1293㎡ 규모의 정원을 선보이게 된다.
예산은 환경부에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으로 신청해 광주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에서 납부한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금(2억5000만원)을 활용할 예정이다.
‘물의 정원은 소생물 서식 공간과 시민 휴식 공간으로 나뉜다.
생물 서식 공간에는 빗물 등을 이용한 습지로 조성해 수생정화식물과 습지 주변 교목, 초목류를 심어 소생물이 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고, 시민 이용 공간에는 정자(쉼터)와 발 담그는 곳 등을 설치해 소생물 생존 공간 복원과 저탄소 친환경 피서공간으로 재탄생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곳은 인근 금당산 중앙공원과 폐선부지 푸른길공원 사이에 위치해 녹색공간 두 곳을 연결하고, 주택가 주변 자투리 땅을 자연생태적 공간으로 활용하는 첫 사례로 기록될 예정이다.
[매경닷컴 조성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