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글로벌 뷰] `신흥국 부채위기`에 대처하는 법
입력 2014-02-10 17:09  | 수정 2014-02-10 19:07
여러 종류의 부채 위기를 보아왔다. 국내에서는 가계신용 위기가 있었고, 미국 역시 2007년 가계주택담보 대출 부실이 문제가 돼 금융위기를 겪었다. 그리스에서 시작해서 남유럽 국가들로 확산된 유럽의 국가 부채 위기는 한동안 세계경제의 가장 큰 불확실성 요인이었다.
최근 신흥국 환율 및 금융시장 불안이 도마에 올랐다. 지난해 6월 이후 브라질 인도 등 신흥국 위기가 있었고, 올해 들어서는 아르헨티나에서 우크라이나까지 신흥국에 대한 위기가 확산됐다. 신흥국들이 겪고 있는 높은 변동성 역시 부채 때문이다. 현재 신흥국 위기의 본질도 부채 위기인 셈이다.
다양한 형태의 부채 위기 경험에 비추어보면 몇 가지 특성이 있다. 우선 해결까지 긴 시간이 걸린다. 또 위기에서 벗어나는 과정은 부채 상환이 아니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미국의 주택담보 대출, 유럽의 정부부채도 크게 줄어든 것이 없었다. 높은 수준의 부채가 유지되고 있지만 그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이 생겼기 때문에 해결될 수 있었다.
현재 신흥국들이 직면한 부채 위기는 대외부채다. 여기에서 부채는 차입금이나 채권만의 문제가 아니라 외국인들이 가지고 있는 자산에 대비되는 개념으로서의 부채(Liability)다. 부족한 자금을 외국인 투자로 충당해 오면서 이자와 배당금이 증가했고, 이를 마련하기 위해 부채원금이 늘어난 것이 문제다.

부채 위기에 몰려있는 신흥국들이 언제 안정을 회복할 수 있을까. 취약한 신흥국들이 충분히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다는 신뢰를 확보하게 되면 이 국가들에 대한 불안이 진정되거나, 혹은 일부 국가에 한정된 문제로 안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자본이 이동할 유인이 적어져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미국의 통화정책 후퇴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신뢰가 필요하다. 그리고 채무국들의 원리금 상환능력이 강해지면 의구심이 약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무역수지가 개선돼야 한다. 최근 위기를 겪으며 통화가치가 상당히 떨어진 만큼 수출에는 유리해졌지만 혼자만 환율이 변한 것이 아니어서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경기가 살아나서 물건을 사줄 수 있는 사람이 늘어야 한다. 선진국 경제가 살아나는 것이 필요하다. 미국 경제는 튼튼하다고 하니, 부실했던 유럽 경제가 살아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이 두 가지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기까지는 신흥국 투자에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김승현 대신증권 글로벌마켓전략실장]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