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마켓레이더] `안갯속` 중남미 투자 조심
입력 2014-01-29 14:20 
일부 신흥국의 외환위기 우려가 높아졌다. 이는 중국의 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기준선을 하회한 영향으로 촉발됐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몇몇 미국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글로벌 경제 전반에 대한 믿음이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적으로 불안정한 아르헨티나 등 일부 신흥국의 약한 고리가 먼저 수면으로 떠올랐다.
2000년대 글로벌 경제를 주도하던 신흥국은 금융위기 직후 부채 축소로 여유가 없었던 선진국을 대신해 2009년 이후 2013년 초까지 강력한 경기부양책을 펼쳤다. 막대한 자금 유입에 의한 신용팽창이 뒤따랐다.
신흥국 내에서는 아시아와 중남미의 차별화가 시작됐다. 제조업 수출 기반의 중국 등 신흥 아시아는 고정투자를 중심으로 한 경기부양책을 펼쳤고, 원자재 수출 기반의 중남미 신흥국들은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한 경기부양책을 펼쳤기 때문이다.
작년 5월 버냉키 쇼크를 계기로 신흥국의 과잉투자와 과잉소비에 대한 전 세계의 시선이 달라졌다. 신흥국들은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중국 등 신흥 아시아는 고정투자를 줄이고 민간소비로의 전환을 택했지만 중국의 원자재 수요에 크게 영향을 받는 중남미 국가들은 새로운 해법을 찾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과잉소비와 통화가치 하락으로 물가가 급등했고, 외국인의 자금 이탈을 막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정책은 정치적 불안정마저 초래했다.

선진국 중앙은행은 막대한 유동성 공급을 서서히 줄이려는 중이다. 연준은 양적완화 규모 축소를 시작했고 이달에도 100억달러를 더 줄일 것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영란은행(BOE)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을 논하기 시작했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일본은행(BOJ)은 추가 양적완화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으로 선회하고 있다. 선진국 경기가 장기적인 회복 기조에 접어들었지만, 신흥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신동준 하나대투증권 자산분석부 이사]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