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12월 30일(06:02) '레이더M'에 보도 된 기사입니다]
◆갑오년 새해 자본시장, 리더들에게 길을 묻다◆
본격적인 금리 상승을 앞두고 국내 기업들은 어떤 자금조달 계획을 수립하고 있을까. 국내 기업들은 내년에는 단기 채권을 발행해 부채를 관리하는 전략을 선호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미국이 본격적으로 양적완화(QE) 축소 움직임을 보이면서 미국 국채를 시작으로 글로벌 금리 상승세가 초입국면에 진입했다. 전문가들은 미국 정부가 단계적으로 QE를 축소하기 시작해 본격적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금리 인상은 2015년부터 시작될 것으로 전망한다.
기업 경영진 입장에서 가장 부담이 되는 게 바로 금리 상승이다. 특히 대규모 자금을 융통하는 기업들은 조달금리 0.1%포인트 차이에도 수십~수백억원이 왔다갔다하기 때문이다. 이자비용이 높아지면 투자와 고용이 줄어드는 등 경영위축이 불가피하다.
단기채 비중을 높이겠다는 기업들은 향후 금리가 오름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염두하고 선제적인 대응에 나설 것으로 전망되는 곳들이다. 일반적인 제조업 기업들은 금리 상승기에는 장기채보다 단기채 비중을 높이는 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단기채보다 장기채 표면 금리가 더 높다. 오래 빌려주는 돈인 만큼 그에 상응하는 대가(이자)가 커야 한다는 논리다. 만기가 짧은 단기채는 장기채와 비교해 상환부담은 크지만 당장 들어가는 이자 비용은 낮은 장점이 있다.
투자자들도 입장에서도 금리가 상승하는 구간(채권 가격 하락)에서는 장기채보다는 단기채가 낫다. 채권 가격 특성상 장기채가 단기채보다 가격 변동성이 크기 때문이다. 금리 상승기에 장기채 가격이 더 큰 폭으로 하락한다는 의미다.
한 IB업계 관계자는 "금리가 오름세로 진입한다는 것은 기업 입장에서는 부채를 단기로 돌리는 게 유리한 환경이 된다는 의미"라며 "내년에 장기채가 만기 도래하는 기업들은 대부분 단기채로 차환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반대로 금리가 하락하는 구간이라면, 기업들은 낮은 비용으로 만기가 긴 자금을 끌어 쓸 수 있고, 투자자들 입장에서도 상승 가능성이 큰 장기채가 더 낫다.
[서태욱 기자]
■ 설문에 참여해주신 분들(가나다순)
<기업 46곳>
기업은행 넥센타이어 대우건설 대우조선해양 대한항공 두산 두산건설 두산인프라코어 두산중공업 롯데쇼핑 만도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중공업 삼성테크윈 삼성화재 삼천리 신세계 신한생명 아시아나항공 우리은행 유진기업 이마트 포스코 하나SK카드 하나금융 하이트진로 한라 한화 한화생명 현대오일뱅크 현대중공업 현대제철 현대자동차 현대해상 CJ CJ제일제당 GS GS건설 KB금융 LG유플러스 LG전자 LIG넥스원 LS산전 OCI SK
<IB 35곳>
광장 김앤장법률사무소 대신증권 대우증권 도이치증권 동부증권 동양증권 맥쿼리증권 메리츠증권 메릴린치 미래에셋증권 산업은행 삼성증권 삼일회계법인 세종 신한금융투자 아이엠투자증권 안진딜로이트 언스트앤영한영 우리투자증권 율촌 크레디트스위스 키움증권 태평양 한국투자증권 하나대투증권 하이투자증권 한화투자증권 현대증권 HMC투자증권 KPMG삼정 KB투자증권 KTB투자증권 NH농협증권 SK증권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